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탁
의뢰
청탁
신신당부
d라이브러리
"
당부
"(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세계로 열리는 창인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어떤 소통의 세상을 만들지 주목해달라”고
당부
한다. 더불어 “지켜보지만 말고 창의적인 엔지니어 ‘자신’이 돼 달라”고 한 번 더 말한다.한 교수는 선친인 국내 전기공학자 1세대인 한만춘 교수가 한 말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엔지니어는 현장에 ... ...
또 하나의 달이 된 '아누셰 안사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하나의 달’이라고 부르는 것이에요.Q_우주인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한마디두 가지를
당부
하고 싶어요. 첫 번째로 공부를 열심히 하세요. 아는 만큼 경험할 수 있고 즐길 수 있습니다. 저도 지금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공부하고 있어요. 나중에 다시 우주여행을 하거나 재단 일을 더욱 즐기고 많은 ... ...
정책 불협화음을 조화로운 선율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기회는 반드시 옵니다”고 말하면서 후배들에게 “기회를 좇지 말고 실력을 갖추라”고
당부
한다.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 말이다. 미래사회를 읽는 힘이 필요미래학자 피터 드러커는 다음 세상(next society)의 진정한 자본은 돈이 아니라 지식이라고 전제하고 지식근로자의 출현을 예언했다. 이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대해 책을 쓸 계획인 이 교수는 과학도들에게 인문, 예술 분야의 소양을 갖춰달라고
당부
했다.“독일에 유학을 갔을 때 지도교수가 고려청자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나는 공부하러 왔다’라는 궁색한 변명 밖엔 못하고 나선 정말 부끄러웠어요. 과학에 예술과 문학이 더해져야 합니다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969년 유학길에 오르기 전날 밤 어머니가 방에 들어오셨다. 눈물을 흘리며 몇 마디
당부
하시더니 하얀 종이에 곱게 싼 물건을 건네주고 조용히 방을 나가셨다. 풀어보니 태극기였다. 마음이 너무나 숙연해졌다. 장 고문이 실험실 폭발 사고의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던 가장 큰 힘은 평생 아들에게 ... ...
광야에서 외치는 고독한 예언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가까이 있는 자연에 관심을 가지라”고
당부
했다. 못 보던 식물이 있으면 도감도 찾아보고 직접 키워볼 때 자연의 신비를 알게 된단다. 그런 다음 설악산에 가면 그곳이 얼마나 자연의 보고인지 깨닫게 된다.“텃밭을 일궈보면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분야로 생명과학을 추천했으며, 학교 이름보다는 학과의 유망성에 초점을 맞춰줄 것을
당부
했다.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 현존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를 들어 황우석 신드롬이 과학기술계에도 몰아치고 있음을 실감하게 했다.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과학책으로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교감은 “19단이 전혀 쓸모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나치게 확대해석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
했다. 이 교감은 “19단을 외워도 생활에 쓸 데가 별로 없기 때문에 금방 잊는 것이 문제”라며 “외우기를 싫어하거나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는 역효과가 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방송사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앞으로 공학 대중화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천문이나 생물책은 이미 많이 나와 있어요. 그러나 실생활을 바꾼 공학기술 분야는 일반인이 볼만한 책이 적습니다. 로봇, 건축, 지능형 ... 있는 젊은 과학저술가들이 과학자도 참고하고 시대를 흔들 수 있는 대작을 써야 한다”고
당부
했다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베버 교수가 아가우 칸톤 고등학교 특례입학을 주선하고, 다음해에 꼭 다시 시험 치라고
당부
했을까.아라우에서 내가 연방공대 입학시험을 위해 공부했던 책 중에는 프랑스 물리학자 비오레가 1882년에 쓴 역학 교과서의 독일어 번역본이 있었다. 프랑스의 영향이 강한 스위스에 있었기에 망정이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