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경"(으)로 총 37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각국의 최초 우주인과학동아 l2004년 03호
- 공모를 통해 선발돼 1992년과 2000년 2차례 우주왕복선에 탑승, 과학 임무를 수행했다. 현재 동경의 기술혁신 과학미래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2003년 중국 최초로 우주비행에 성공한 양 리웨이는 공군 중령이다. 그는 “우주에서 만리장성은 눈으로 볼 수 없었다”라고 솔직한 멘트를 해 일부 애국심이 ...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과학동아 l2004년 02호
- 보완해 마크 와이저를 훨씬 뛰어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지난해 12월 11일부터 3일간 동경에서 열렸던 ‘트론2004’는 최근 일본의 유비쿼터스 연구 현황과 각국 기업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물론 이번 전시를 주관한 것도 겐 교수. 전시 기간 동안 전시장 곳곳을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과학동아 l2004년 01호
- 1시간을 보정한 표준시를 사용한다. 우리나라 시간은 동경 1백35°의 표준시다. 대전은 동경 약 1백27°이므로 표준시와 약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앙부일구에서 읽은 시간에 30분을 더해야 현재의 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했는지는 ...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생장법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는 것들이다(1) 운동경기에서 체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켜 더욱 좋은 성적을 올리게 할 목적으로 선수에게 심장흥분제나 근육강화제 등의 약물을 먹이거나 주사하는 일 도핑을 하면 경기성적은 올릴 수 있지만 선수의 신체가 극도로 ...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한강처럼 수도를 흐르는 일본 동경의 스미다강(隅田川). 동경전력은 1989년부터 이 강물에서 열을 얻어 하코자키(箱崎) 지역의 IBM 빌딩을 비롯해 업무용 건물 4곳의 냉난방을 공급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 냉난방 시스템보다 20%의 에너지가 절감되고,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약 33%, 일산화탄소는 약 35 ...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트란스라피드를 참조하고 있다. 이 첫번째 사례가 1974년 일본항공(JAL)이 나리타공항과 동경 시내를 연결하기 위해 독일의 TR-04 기술을 도입해 개발을 시작한 HSST(High Speed Surface Transport)다.이후 나리타공항 노선은 취소됐지만 이 모델은 그동안 7단계의 차량 제작, 실험을 거쳤다. 결국 2005년 나고야 ..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미국과 러시아달은 우주가 개척되기 훨씬 이전부터 탐험가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동경과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달이 과학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은 불과 400년 전. 실제 탐사가 가능해진 것은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부터다.달 탐사에 관한 최초의 시도는 냉전시대 미국과 옛 소련이 주도했다. 옛 ... ...
- 1 나노 고지 달성 위한 베이스캠프, 나노팹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있다.이와 함께 일본에서는 대학을 중심으로 나노팹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와세다대, 동경공대, 히로시마대, 오사카대, 첨단산업과학기술 국립연구소(AIST,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를 중심으로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나노기술 관련 장비와 시설을 네트워크로 ...
- 3 물을 단계적으로 분해시켜 제조하는 비법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공정만이 실증단계 수준에 있다.UT-3 사이클은 동경대에서 개발한 것(UT-3은 Unversity of Tokyo-3을 뜻함)으로 몇 안되는 실증단계의 공정이다. UT-3 열화학적 수소제조과정은 칼슘(Ca)과 철(Fe), 브롬(Br)화합물로 이뤄진 4개의 반응으로 구성돼 있다(그림 2). UT-3 ...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과학동아 l2003년 08호
- 2호의 부분적인 성공에 이어 1964년 8월 신콤 3호가 마침내 태평양 상공 정지궤도에 안착해 동경올림픽을 중계하는 등 위성의 놀라운 위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텔스타, 릴레이, 신콤을 실험하는 동안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브라질, 일본에 위성지구국이 운영되자 자연스럽게 세계적인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