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전했어요. 이건 아프리카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한 번에 300개의 알을 낳는 엄청난
번식
력으로 수를 불린 사막메뚜기 떼는 바람을 타고 하루 최대 150km를 이동하며 중동과 남아시아를 거쳐 현재 중국과 인접한 파키스탄과 인도까지 날아온 상태예요. FAO는 앞으로 몇 주 안에 사막메뚜기 떼를 잡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알레르기가 아니라 진짜 감동해서 흘리는 눈물이라니까? 엣취! 풍매화(風媒花) 식물이
번식
하려면 꽃의 수술에서 만들어진 꽃가루가 암술에 닿아야 해요. 이때 식물은 꽃가루를 다른 식물로 옮기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쓰지요.풍매화는 바람을 이용하여 꽃가루를 날리는 종류의 꽃을 의미해요.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담은 핵산을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캡시드)이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구조로, 스스로
번식
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숙주 세포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정보를 복제하며 급속히 증식하죠. 대칭이어야 자기 복제가 쉽다!빠르게 자기 복제를 할 수 있는 건 바이러스의 구조가 굉장히 단순한 대칭이기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육하는 것이 금지되는 추세예요. 캐나다에서는 수족관이 새로운 고래를 데려오거나
번식
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되기도 했지요.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3월 20일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고래가 더 수입되지 않고 있어요. 이 개정안에서는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등 많은 유럽 국가에서는 독수리가 완전히 멸종됐어요. 모로코, 알제리, 이스라엘처럼
번식
지였던 곳에서도 더이상 독수리의 둥지를 볼 수 없지요. 또 독수리가 느리게 비행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노리기 쉬운 사냥감이란 것도 문제예요. 지금은 세계자연보연연맹(IUCN)에서 독수리를 멸종위협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개구리가 짝을 찾을 때 내는 울음소리도 녹음했지요. 녹음기가 1년간 잘 작동한다면
번식
기를 알 수 있을 겁니다. 이같은 연구 방법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연구 환경이 호주가 훨씬 위험하다는 것만 빼면요. 다만, 수 년간 이뤄지는 장기 생태 연구는 호주에서 더 많이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생의 첫 장면은 숙주를 찾는 얘기로 시작된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
번식
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를 찾아 기생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찾는 전략은 단순하다. ‘일단 많이 만들어 퍼뜨 리자’는 생존 전략을 초지일관 고수하고 있다. 맨눈으로 확인하지 못할 뿐 우리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성된 항체는 다른 동물의 적혈구는 파괴하지 않았다. 적혈구는 박테리아와 달리
번식
하지 않아 통제가 쉽고,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적혈구는 붉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도 쉽다. 적혈구를 이용하는 면역 실험은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
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보스턴아동병원 교수였던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박사는 유행성이하선염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박테리아에 작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마찬가지로 박테리아의
번식
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항생제도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폐렴구균 백신 등이 코로나19를 예방할 수는 없다”며 “다만 건강을 위해서 폐렴백신을 맞는 건 권장한다”고 설명한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