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품"(으)로 총 1,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제어기-클러스터-배터리팩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현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부품은 배터리팩이다. 하일정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 사무국장은 “과거 개인형 이동장치를 레저용으로 사용할 때는 속도나 등판능력 향상에 관심이 높았지만 오늘날엔 배터리팩 연구가 가장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관측할까요?우선, 재활용 페트병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무겁게 만든 후, 페트병 뚜껑에 부품을 하나씩 조립하세요. 그리고 날씨를 관측할 적당한 장소를 찾아 웨더 스테이션을 설치하면 된답니다. 이때, 지면과 너무 가까우면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기온 관측을 방해하거나 빗물이 튀어 들어올 수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마지막으로 초정밀 3D 프린팅 공정으로 배선을 인쇄해 센서, 안테나, NFC 칩 등 각 부품을 연결해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완성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의 사용법은 간단하다. 눈에 착용한 뒤 눈 가까이에 스마트폰을 대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콘택트렌즈의 은 안테나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후 나로호 점검 결과에서도 특이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만일을 대비해 몇 가지 부품을 교체하는 선에서 이번 일을 수습할 수 있었다. 나로호가 날아갈 필리핀 동쪽 해상에 원격측정수신장치를 싣고 미리 나가 있는 해경도 보유한 연료나 음식으로 하루 정도 더 버틸 수 있다는 연락을 해왔다.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 그중 80%는 6개월~3살의 어린이로 가장 많이 삼키는 물질은 동전이나 작은 장난감 부품이었어요. 이에 호주, 영국 소아과 의사 6명은 이물질 섭취의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위험한(?) 실험을 계획했습니다. 2018년, 의사들은 자신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 레고 머리를 직접 먹었어요. 평균 36.2살(27~45살 ...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 Q 장난감 치료에 공학 전공이 도움 될 것 같아요. 장난감은 간단해 보여도 부품이 복잡한 경우가 많아 공학 지식이 도움이 돼요. 예를 들어 금속 전공은 부식, 용접, 납땜에 유리하고, 전기 전자를 전공한 박사들은 전자회로에서 이상이 있는 부분을 잘 찾아내지요(웃음). Q 장난감에 대한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제작한 기판은 오디오 앰프였다. 이 기판은 부품을 부착하기가 특히 어려웠는데, 부품 대부분이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3mm, 6mm로 매우 작았기 때문이다. 납땜해야 하는 핀의 길이도 0.4mm 정도밖에 되지 않아 현미경으로 보면서 작업해야 했다. 당시 작업은 쉽지 않았지만, 이때 만든 앰프는 아직도 내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니 생각보다 많은 부품이 붙어 있네요. 모두 ‘플로팅(floating)’ 현상을 해결할 저항 부품들입니다. 플로팅 현상은 아두이노가 신호를 잘못 인식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자면, 아두이노 보드에서 전류는 기본적으로 5V 출력 핀(+)에서 시작해 전압이 낮은 핀(-)을 향해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를 연구하는 데에도 SPT 자료가 쓰일 예정이다. 부품 디자인에서부터 가공, 시험과 프로그램 개발까지 내 손때가 묻지 않은 부분이 없는 수신기가 블랙홀 연구에 앞으로 더 큰 역할을 해주길 기대해본다. 주어진 일, 재밌는 공부를 꾸준히 2019년 여름, 나는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아닌 ‘부품’처럼 물려받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림프구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이런 부품들이 무수히 많은 조합을 만들어내고, 평생 생성되는 다양한 항체 유전자들은 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T림프구의 항원 수용체 역시 유전자 재배열로 다양성을 획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도네가와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