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나무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섬유질인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만들어요. 아주 가는 실 모양의 셀룰로오스들이 서로 달라붙어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게 바로 종이랍니다.각각의 셀룰로오스들은 약해서 쉽게 끊어져요. 셀룰로오스들이 뭉쳐 있으면 하나만 있을 때보다 끊기가 어렵지만, 얇은 두께의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율주행로봇으로 보기 어렵다. 철도연은 물체의 종류를 인식해서 로봇손으로 옮겨 실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그간 자율주행 물류로봇들이 자율주행으로 물건을 이동시키는 기능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 뽕나무(비단실) 등 ‘밭에서 나오는 가는 실’이란 뜻으로 변화했지요. 이후 ‘가는 실’이란 뜻이 ‘가늘다’, ‘작다’ 등으로 확대됐답니다.한편, ‘버섯/곰팡이 균(菌)’은 ‘풀 초(艹)’와 ‘곳간 균(囷)’을 합한 한자예요. 즉, 곳간 같은 지붕(갓)이 있는 버섯이나 곳간 안에 있는 풀(버섯)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무게만 해도 상당하니까요.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은 좀 더 개량된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식물재배장치로, 18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그래핀이 강철보다 10배 이상 방탄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아내 ‘사이언스’ 2014년 1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가볍고 강한 방탄재료는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술 중 절개하거나 상처가 난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하는 방법이 있을까.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상처를 간단하게 붙이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기존에는 절개 ...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9월 16일 아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북원로터리의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학생들이 무리지어 무언가에 열중하고 있었다. 진해로 매스투어★를 온 경남 창 ... 있었어요”라며, “앞으로 수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친구들과 여러 활동을 하며 수학 실력을 키워보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찌꺼기만 걸러내 소변으로 내보낸다. 거름주머니 역할을 하는 사구체에는 모세혈관이 실 뭉치처럼 엉켜 있는데, 사구체로 들어가는 입구(동맥)보다 사구체에서 나오는 출구(정맥)가 좁아서 생기는 혈압차로 이런 찌꺼기를 거른다. 그래서 신장의 모세혈관은 물, 포도당, 요산 등 크기가 작은 분자와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하면 한 손으로는 실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채 수백수천 번 같은 공간을 오가야해요. 실수 없이 작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긴장하지만,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동을 통해 마음은 점차 평온해지죠. 제게는 이때가 수행과도 같은 명상의 시간입니다. 공간은 점점 채워지지만 마음과 정신은 반대로 ...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트위스트론 실 19.2mg을 이용해 2.3볼트(V)의 발광다이오드(LED) 전등을 켜는 데도 성공했다. 실에 풍선을 매달고 바닷속에 넣은 뒤, 파도가 오르내림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생산되는 현상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휴대전화나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드론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