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질
알맹이
실재
진수
정수
근본
내용
d라이브러리
"
실체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한쪽 귀의 고막을 잃기도 했다. 조선시대 무기 ‘신기전’이 세계 최초의 미사일이라는
실체
를 밝히기도 한 그는 국산액체추진제 로켓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한 우물을 파야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저자의 이야기에 귀기울여보자.각색짐승 생존백서모리타 유코 지음 | 황혜숙 옮김 | ... ...
지구 3배만 한 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과연, 저 행성이 제2의 지구가 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좀 더 가까이 다가가 그
실체
를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안녕하세요? 그런데 제가 너무 멀리 오다 보니 여기가 어딘지 도대체 알 수가 없군요. 본인 소개와 함께 이 곳의 위치를 좀 알려 주세요.지구에서 정말 멀리까지 와 주셨군요.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관심이 쏠리고 있다. 데이터 분석이 끝나는 내년 이맘때쯤에는 신의 입자 ‘힉스’의
실체
가 밝혀질까. 입자물리를 전공하고 현재 고등과학원 물리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있는 저자는 LHC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펼쳐 보인다.그것은 뇌다다니엘 G. 에이멘 지음 | 안한숙 옮김 |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절대음감에는 유전자 하나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아직 그
실체
는 밝혀지지 않았다.결국 언어발명으로 절대음감이 생존에 필요해지지 않자 절대음감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소수만이 정상 유전자를 갖고 있는 셈. 미국 국립보건원 ... ...
[생물학]적의 적은 친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겨자과 식물인 싹양배추가 나비의 천적을 끌어들여 잎을 갉아 먹는 나비 애벌레를 죽이는 메커니즘이 밝혀졌다.기생말벌은 싹양배추 잎에 낳아 놓은 큰양배추흰나비 ... 기생말벌을 끌어들이는 신호분자 합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호분자의
실체
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게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처럼 다양한 품종이 나오게 한 유전자 변이의
실체
가 드러나고 있다. 몸 크기에 영향 주는 유전자 찾아한국애견협회 분류법에 따르면 개는 크게 8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아파트에 많이 사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가운데 토이(toy)종, 즉 장난감처럼 작은 종류를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네이처’ 2000년 8월 17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일반인의 상식을 뒤엎는 기억의 ‘
실체
’를 보여줬다. 이들의 연구는 한 마디로 “기억은 회상할 때마다 흔들린다”는 것.기억은 크게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뉜다. 친구의 바뀐 전화번호를 듣고 난 뒤 번호를 눌러 전화를 걸 수 있는 건 단기기억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있을 정도로 파급력이 크다고 한다. 여전히 많은 수학자가 매달리고 있다는 리만 가설의
실체
를 살펴보자. ★ 괴델, 에셔, 바흐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지음 | 박여성 옮김 | 까치글방 | 상하 각각 2만 원1980년 퓰리처상 논픽션부문 수상작. 미국의 물리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를 일약 유명하게 만든 ... ...
광우병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MM형인 이유를 분석했다. 또 광우병 소에서 변형 프리온이 몰려 있다는 특정위험물질의
실체
를 보여주고 인간광우병의 치료가능성을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우병의 진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달라붙어 프로테아솜의 기능을 무력화시킨 결과”라고 설명했다.1982년 프리온의
실체
가 밝혀진 이후 프리온 연구는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질병, 특히 신경퇴행성 질병이 생기는데 결정적인 원인이라는 통찰을 낳았다. 즉 알츠하이머병의 뒤에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변형이 있고, 파킨슨병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