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y
아카대미과학
d라이브러리
"
아카데미과학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20년 전에 남극 상공에서 발견된 오존 구멍이 사라지러면 6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존층에 구멍을 내는, 냉장고나 에어컨에 쓰이는 냉매 화합물이 대기에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전 세계 어린이들을 열광하게 만든 조앤 K. 롤링의 해리포터 시리즈를 알고 있지요? 우리가 늘 꿈꾸던 마법의 세계를 기발한 상상력으로 실현해 낸 책으로 영화로도 만들어져 엄청난 해리포터 유행을 낳았어요. 올 겨울 드디어 해리포터 시리즈의 네 번째 영화 ‘해리포터와 불의 잔’이 개봉했습니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간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도움을 준 노성일 이사장에게 감사한다.’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2004년 3월 12일자에 실린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석좌교수팀의 논문 마지막 부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세계 최초로 복제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했다는 내용의 이 논문은 황 교수를 일약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DNA는 1869년 스위스의 프리드리히 미셔가 상처의 고름에서 얻은 백혈구 세포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다 처음으로 발견했다. 세포는 끈적거렸는데, 미셔는 끈적거림의 원인이 세포질이 아니라 세포핵 내에 존재함을 밝혀냈다. 그는 그 물질을 ‘뉴클레인’이라 불렀고 그것이 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산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허블은 대부분의 천문학 관찰을 윌슨산천문대에서 수행했다. 1919년 허블이 처음 그곳에 왔을 때 마침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인 지름 100인치(약 2.5m)짜리 반사경이 달린 후커망원경이 설치돼 있었다. 이후 그는 이 망원경으로 우리 은하 밖 우주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어내게 된다.당시 천문학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992년 아인슈타인이 노벨상 수상자로 결정되던 그해, 조선교육협회가 아인슈타인을 초청했다. 그러나 그는 오지 않았고, 조선에 민립대학을 세우려고 했던 지식인들의 꿈은 무너졌다. 83년 전 있었던 아인슈타인 초청 비화를 밝힌다.“정말, 아인슈타인 씨가 온단 말이요.”“그렇다니까요. 여기 오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난 4월 1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 있는 컨벤션센터의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부스 앞에 세계 각국에서 모인 과학교사들이 줄을 길게 늘어섰다. 지진해일(쓰나미)을 소재로 한 포스터와 교육용 CD를 받기 위해서다. 지난해 말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쓰나미는 세계적으로 지구과학에 대한 관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장 사교적인 감각.’인간의 오감 가운데 하나인 미각에 대한 별칭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혼자 식사하기를 싫어한다. 남과 친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음식을 함께 나누는 것이다. 아무리 화려한 결혼식에 초대됐어도 나온 음식이 별로이면 결코 좋은 인상이 남지 않는다.최근 맛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라부아지에가 연소 현상을 연구하기 100여년 전 영국의 화학자 메이오는 연소와 호흡이 공기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메이오는 1674년 출간한 책에서 공기가 두 가지 성분의 혼합물이며 물질이 연소하면 그 중 하나를 흡수한다고 설명했다. 또 물질이 연소할 때 필수적으로 흡수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딥 임팩트가 혜성 템펠1과 충돌하는 임무를 띠고 1월 12일 발사됐다. 탐사선은 탑재한 충돌선 임팩터를 발사한 뒤 혜성에서 500km 떨어진 거리에서 충돌 현장을 촬영하며 혜성 내부의 구성물질이 관측될 전망이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