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부분
국부
국소
음부
한부분
몫
d라이브러리
"
일부분
"(으)로 총 54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마른 곡식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로 대략 1갤런, 128온스를 나타냅니다. 헤캇을 쪼갠
일부분
을 호루스의 눈이라고 불렀고 도식화해서 표현했습니다.이집트 신화에 의하면 오시리스의 아들이 호루스입니다. 오시리스는 형제인 세트의 배신으로 살해됐고 호루스는 세트를 살해해 복수합니다. 하지만 그 ... ...
가르고 모으는 집합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있는데 { }안에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집합 중에는 어떤 집합의
일부분
이 되는 집합이 있다. 이를 부분집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살펴보자. 실수집합은 유리수집합과 무리수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유리수집합과 무리수집합은 실수집합에 속해 있다. 이런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에밀리의 초상’에서 나오는 드레스처럼 화사한 파란색을 띤다. 그런데 조직이 명화의
일부분
과 닮았지만 색깔이 다른 경우가 더 많다. 메드아트는 조직이 명화와 더 닮아 보이도록 포토샵으로 색채를 더 짙게 하거나 다른 색을 덧입히기도 한다.후두덮개 조직은 올세인으로 염색한 뒤 관찰해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특별한 시기가 아니라는 걸 알았어. 현재를 지나 미래까지 이어지는 지구 기후변화의
일부분
이라는 걸 말이야. 미래에 언젠가는 다시 빙기가 시작되겠지만 그 때까지의 과정이 더 중요한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 온난화로 인해 지금껏 겪어 보지 못한 극한 이상 기후를 경험하게 될지도 모르니까.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실장은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남극이나 북극의 빙하 위에서 진행되는 관측프로그램에
일부분
밖에 참가하지 못했다”며 “이제는 우리가 국제 공동연구를 기획하고 연구도 주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내년 7월 아라온 호는 북극으로 진출해 북극항로를 개척하기 위한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원자 알갱이 하나하나에 바늘을 갖다 대 에너지(일함수)를 알아내는 격이다. 결국 표면의
일부분
만을 분석하는 XPS와 달리 전체를 분석할 수 있다.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은 표면을 이루는 모든 원자의 일함수를 알아낸 뒤 한눈에 파악하도록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2차원 스펙트럼을 여러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19개월가량 단축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인천대교 외의 다른 교량 건설현장도
일부분
패스트 트랙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고 두께를 줄이면 더 긴 교량을 만들 수 있다. 현재 케이블에는 일반 철보다 탄소함유량이 높고 조직이 치밀한 강선을 사용한다. 서울대 김호경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부학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창자의
일부분
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동그라미는 창자에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속의 여성성, 여성 속의 남성성재밌는 점은 초식남이 다소 여성적인 특성을, 건어물녀는
일부분
남성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양창순 원장은 “유교사회에서 억눌려 있던 남성 속의 여성성인 아니마(anima) 와 여성 속의 남성성인 아니무스(animus) 가 자연스럽게 표출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쉬운 점은 몇 군데 교열상의 허점과 인간 프리온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설명과 같이
일부분
잘못된 정보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인간광우병(올해만 논문이 50여 편 출간됐다)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너무 도식적이고 원칙론에만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