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있어요. 표준형 바코드는 일반적인 크기의 상품에 사용하고, 단축형 바코드는 크기가
작은
상품에 주로 사용하지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형 바코드의 경우, 긴 막대기 아래에 있는 숫자들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맨 앞의 세 자리는 물건을 만든 나라를 나타내는 ... ...
질문하면 답해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해머가 현을 세게 진동시켜 큰 소리가 나고, 건반을 살살 누르면 현을 약하게 진동시켜
작은
소리가 나도록 했죠. 이렇게 연주자는 자유자재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됐어요. 크리스토폴리는 자신의 발명품에 ‘피아노(여린 음)와 포르테(강한 음)를 함께 낼 수 있는 하프시코드’라는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제작됐다. 해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바퀴였다. 우리가 흔히 보는 바퀴와 달리
작은
구멍들이 촘촘히 뚫려 있었다. 매우 고운 달 토양 입자들이 바퀴 내부에 쌓이지 않고 바깥으로 빠져나가기 쉽도록 메쉬-그라우저(Mesh-Grouser)구조로 설계한 것이었다. 달 탐사로버의 바퀴를 접는 기술도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겁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말을 걸기 위해’ 실패주간 내내 창의학습관 1층에서는
작은
사진전이 열렸습니다.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장면 중 30개를 선별해 전시했죠. 안 교수는 “KAIST 교수들도 전시를 보며 공감한다”면서 “학생들이 실패가 보편적이란 걸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있다는 증거들이 발표되는 족족 모두 반박당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마음 한 구석에
작은
의구심이 들긴 합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과연 우리 하나 뿐일까요. 이번 달 독자기고 주제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선 과학을 좋아하는 편집부와 독자들이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연구는 회복탄력성을 길러가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연구 과정에서 크고
작은
상처를 받아도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자존감을 키우는 데에도 관심을 두죠. 마지막으로 소통 능력입니다.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이죠. 이 세 능력이 결합할 때 자율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하지만 보시는 큰 로봇이 전부가 아닙니다.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로봇도 있죠. 연구실 이름인 ‘멀티스케일’인 이유입니다.” 외부 자기장으로 몸속 로봇을 움직이다 MBR Lab은 몸속에 들어간 로봇을 움직이고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 자기장으로 로봇을 조종하는 ... ...
[SF] 속도의 맛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좋았다. 어둡던 시야가 확 밝아지는 느낌이었다.태호가 주위를 둘러봤다. 그동안 살아온
작은
방이 오늘따라 더 작게 느껴졌다. “그래. 다 버려야지.” 마침내 결심을 하니까 마음이 무척 편해졌다. 태호가 손때 묻은 낡은 휠체어를 천천히 손으로 쓰다듬었다. “그동안 정말 고마웠다내 발이 ... ...
[어수티콘 사전] 나머지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바꾸어 생각해 봐요. 쿠키 10개에서 3개씩 빼 보는 거예요. 10에서 3을 계속 빼면 3보다
작은
수인 1이 남아요. 1에서는 3을 뺄 수 없지요. 더 이상 나누는 수만큼 뺄 수 없어서 남는 수를 나머지라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1은의 나머지가 되는 것이랍니다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주변에는 먼지 덩어리가 발생해요. 먼지 속의 큰 입자들은 바로 바닥에 가라앉지만, 아주
작은
입자들은 오랫동안 수중에 머물게 되지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형기성 연구원은 “부유물이 두껍게 쌓일 경우, 수중에서 떨어지는 유기물을 먹고 사는 해저 생물은 부유물에 파묻히거나 운동성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