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d라이브러리
"
전하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소금도 전해질에 포함되죠. 물에 넣으면 소금은 (+)
전하
를 띠는 나트륨 양이온과 (-)
전하
를 띠는 염소 음이온으로 나뉘거든요. 하지만 설탕은 이처럼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전해질에 포함되지 않지요.‘전해질’을 이루는 한자를 풀어 보면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첫 번째 글자인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할 수 있다.이들이 만든 초기 가속기의 활용처는 주로 원자핵물리학 분야였다. 양성자 등
전하
를 띤 입자를 빠르게 가속시켜 원자핵과 충돌시킨 뒤 거기서 나타나는 반응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 뒤 과학자들은 의학과 산업분야로 활용분야를 넓혔다. 현재 전세계에 약 3만 개의 가속기가 설치돼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연구팀은 온도를 바꿔가며 흑린의 열전현상을 추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흑린의
전하
가 불순물의 영향을 받으며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배 책임연구원은 “기판의 불순물을 조절하면 원하는 대로 흑린의 열전현상을 제어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흑린을 효과적으로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내막과 외막의 사이 공간)으로 퍼낸다. 그 결과 막간공간은 (+)
전하
로, 내부막은 (-)
전하
를 띠어 전위차가 생긴다. 전위차를 만들 때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노화와 퇴행성 질환의 주범으로 꼽힌다(4파트).4단계 양성자는 에너지를 싣고막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양성자는 미토콘드리아 안쪽으로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잘 붙여야 한다. 연구팀은 RNA를 지질로 감싼 나노입자를 만들고, 전기적인 자극을 줘서 음
전하
를 띠게 했다. RNA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동시에 수지상세포에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암에 걸린 쥐와 흑색종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했다. 그 결과 적은 양으로도 ... ...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왔다. 연구팀은 “(다른 원자와 잘 상호작용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지만 원자들 사이에
전하
가 이동해서 약한 공유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며 “그 효과로 반데르발스힘이 이론값보다 더 큰 것처럼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크기도 작아졌다. 이미 알려진 대로 임신 초기에 가장 치명적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안
전하
다고 알려졌던 임신 중기에도 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았다.UC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조금 더 범위를 좁혔다. 이들은 미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성체 피질세포와 함께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 결과 성인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전하
를 띠는 전기적인 성질을 갖게 돼요. 그런데 구조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한 가지
전하
의 성질이 크게 나타나지요. 이 상태를 ‘극성’이라고 해요. 물은 극성 액체인 반면, 기름은 전기적으로 아무런 성질을 띠지 않는 무극성 액체예요.‘섞인다’ 혹은 ‘녹는다’는 것은 물질을 이루는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LSST는 넓은 하늘을 빠르게 찍기 위해 사람의 상반신 크기만 한 3.2기가픽셀의 CCD(빛을
전하
로 바꿔 이미지를 얻어내는 센서)를 설계했다. DSLR 카메라에 들어가는 CCD 수만 개를 합쳐놓은 규모로, 지금까지 개발된 카메라 중 규모가 가장 크다. 렌즈도 특화시켰다. 가운데가 뻥 뚫린 반지 모양으로 가장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중성입자를 이용하면 추간판을 완전히 분해하면서 마지막엔 물 분자만 만들어져 안
전하
다. 가까운 미래에는 플라스마가 암 세포 치료에도 활용될 계획이다.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내시경으로 몸속의 암 세포를 분해시키거나, 플라스마와 함께 나오는 빛(자외선)을 암 세포에 쪼이는 방법 등 다양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