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결의 배열
선
선조
가는 홈
색대
d라이브러리
"
줄무늬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6만 4000km의 속도로 엔셀라두스에 근접 비행할 때 찍었다. 엔셀라두스 표면에는 ‘호랑이
줄무늬
’ 같은 좁고 긴 협곡이 또렷하게 보이는데, 과학자들은 깊이가 300m에 이르는 이 협곡을 엔셀라두스 땅 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가 제트처럼 분출하며 남긴 흔적이라고 추측한다.미국 코넬대 폴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주기적인 타일링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타일에
줄무늬
패턴을 만들어 타일을 붙일 때
줄무늬
가 서로 연결돼야 한다는 조건을 주면 주기적 타일링을 만들 수 없다(그림2).연 5개로 만든 ‘태양’을 출발점으로 만든 패턴과 다트 5개로 만든 ‘별’을 출발점으로 한 타일링을 보자(그림3). 태양이나 ... ...
천문대에서 역사와 문화 배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자랑거리다. 국내에서 육안으로 천체를 보는 망원경 중 가장 크다. 토성의 고리와 목성의
줄무늬
, 성운과 은하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밤하늘의 모습을 구현한 ‘플라네타륨’이란 방에 꼭 들러야 한다. 바라보기만 해도 천문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의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비교적 촬영하기 쉽다. 게다가 목성 주위를 도는 4대 위성의 운동과 목성 표면의 다양한
줄무늬
는 촬영에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행성을 촬영하는데 가장 중요한 장비는 천체망원경이다. 구경이 크고 광학계가 좋을수록 더 크고 선명한 목성을 찍을 수 있는데, 굴절망원경의 경우 구경이 10cm 이상,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표범의 얼룩무늬를 멋지게 재현했다. 바바라 허튼의 호랑이는 황금가죽에 오닉스의 검은
줄무늬
가 일품이다. 마리아 펠릭스를 위해 만든 악어 목걸이는 각각 에메랄드와 루비 눈이 박힌 악어 두 마리가 목을 감싸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속이 텅 비었고 몸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세공돼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접근했는데, 목성의 클로즈업 사진과 자기장이나 입자의 정보를 보내 왔다또 목성의
줄무늬
라든가 갈릴레이 위성의 하나하나를 찍은 사진도 보내왔다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게이 뤼삭의 법칙)을 결합시킨 법칙 보일-게이 뤼삭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둘 이상의 유전자가 공존함으로써 단독일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데 비해 난류성 어류는 빛깔의 변이가 심해 청색 · 황색 · 녹색 · 적색 · 등색을 띠며
줄무늬
· 반문(班紋)이 있다 C F 바이츠제커가 1943년에 제창한 태양계 기원설 태양 부근의 기체의 난류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그 소용돌이에 의해 우주진(宇宙塵)이 응집해서 행성(行星)이 형성된다는 설이다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얼룩말의 세로
줄무늬
와 키 큰 초록색 풀을 구별하지 못한다. 얼룩말이 떼를 지어 있으면
줄무늬
가 서로 섞여 사자가 얼룩말 무리 중에서 하나를 고르기도 힘들다.색맹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코스타리카 숲에 사는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색맹인 종류가 위장한 곤충을 더 잘 잡아먹는다고 캐나다 ... ...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알갱이의 색, 크기를 기록해 보면 암석의 특징을 쉽게 기억하고 비교할 수 있어. 암석의
줄무늬
나 색이 잘 나타나게 사진을 찍거나 스케치를 해 보는 것도 좋아. 암석의 특징을 적어 보면서 암석의 쓰임새도 함께 생각해 보렴. 와우~,암석 돋보기로 보니 길 가에 굴러다니는 돌멩이 하나도 예사롭지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지난 봄 파종해 기른 결과 콩과 애기장대가 생육초기에 발육이 저하됐으며 난에서는
줄무늬
가 나타나는 변이가 있었다”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돌연변이는 대를 거듭할수록 많이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주 씨앗의 2세가 탄생하는 2008년에 더 많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