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어린 시절 학대 경험이 정신질환 일으키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척수를 이루는 ‘별 아교 세포’야. 뻗어 있는 돌기 때문에 별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 별 아교 세포는 돌기를 통해 신경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뇌와 척수의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는 역할을 해. 8월 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팀은 아동기 스트레스로 생기는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독자 기자는 “집에 돌아와서 수업 시간에 완성한 레고 작품으로 상황극을 구상한 후 사진을 여러 장 찍고 이어 붙여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영상을 만들었다”며 “다음에도 레고 클래스가 열린다면 꼭 참석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 ...
- 하늘과 땅을 잇는 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걱정하지 마라냥! 이제 두 그루가 하나로 연결될 거다냥!” 측냥이는 순식간에 합쳐진 두 콩나무의 길이를 더했어요. 기다랗게 이어 붙인 콩나무를 땅으로 내리려는데, 또 다른 문제가 생겼어요. “아뿔싸냥! 이걸 못 볼뻔했다냥!” 주의사항을 보니 콩나무는 하땅길과 길이가 정확히 ... ...
- [통합과학 교과서] 미운 오리도 사랑받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저기 아기 오리들 좀 봐! 너무 귀엽다!”탐정 사무소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강가에서 헤엄치는 새끼 오리들을 발견하고 손 ... 탐정은 강에서 헤엄치는 백조들을 가리키며 말했습니다.“감사합니다. 꿀록 탐정님! 저도 이제 진정한 제 가족을 찾을 수 있게 됐네요 ... ...
- [특집] 진실 혹은 거짓, 아인슈타인의 실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점점 더 빨리 팽창하는 ‘가속 팽창’ 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과학자들은 관측되진 않았지만 우주를 점점 더 빨리 팽창시키는 미지의 존재에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라는 이름을 지었어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가 등장한 뒤, 아인슈타인이 실수라고 인정했던 우주 상수는 암흑 ... ...
- [꿀꺽!수학 두 입] 칙칙폭폭~! 신기한 순환소수 기차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나오지요. 예를 들어 순환소수인 0.142857에서 순환마디인 142857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나눠진 두 부분끼리 더하면 142+857=999가 돼요. 1/17 을 순환소수로 나타내 볼까요? 0.0588235294117647. 순환마디가 무려 16자리예요. 앞쪽 8개, 뒤쪽 8개로 나눈 후 합을 구하면, 05882352+94117647= ...
- [특집] 상대성 이론 시간 여행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위해 지구 1만km 상공에 위치한 위성과 지구의 시계를 비교했어요. 지구에서 멀어진 위성 속 시계가 지구의 시계보다 중력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을 이용한 거죠. 실험 결과, 위성에서는 73년마다 1초가 더 빠르게 가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2022년 2월에는 미국 표준기술연구소가 스트론튬 입자를 ... ...
- [섭섭박사 메이커] 3D 프린터가 내 손안에? 3D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이 잉크는 마요네즈처럼 형태를 잘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이 좋고, 이전에 만들어진 잉크보다 전도성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지요.정승준 박사는 “생체 신호를 읽는 웨어러블 기기는 피부와 닿는 부분이 떨어지는 문제가 잦은데, 새로 만든 잉크는 유연성이 좋고 변형이 자유로워 피부에 밀착시킬 수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하는데, 먹이가 가장 많고 날씨가 온화한 때인 봄을 놓치면 새끼 새들이 살아남기 힘들어진다는 걸 의미하지요. 특히 철새는 계절이 바뀌면 사는 곳을 옮기기 때문에, 봄이 일찍 오면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요. UCLA의 모건 팅글리 교수는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새의 수가 1/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결정할 수 있지요. 이전까지는 모기에 대해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정해진 구역에, 정해진 횟수만큼 살충제를 뿌렸는데, DMS를 활용하면 더 적은 양의 살충제로도 모기 수를 줄일 수 있게 된 거예요. 이전에는 약 5와 6/10L(리터)의 살충제를 사용했다면, DMS를 활용한 뒤에는 1과 1/2L만으로도 모기 수를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