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문
바닥
들창
망치
도끼의 자루
채광창
통풍창
d라이브러리
"
창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만들었다. 무균 쥐는 특정 면역세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은
창
자의 융모가 비정상적으로 얇다. 그래서 몸도 삐쩍 마르고 질병에 약하다. 연구팀은 이 무균쥐에게 ‘쥐 노로바이러스’를 투여했다(쥐 노로바이러스에는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는 종류와 증상 없이 감염 상태를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동기가 없어서 풀리지 않은 것뿐이다. 만약 현상금이라도 걸면 풀리는 건 시간문제다.
창
을 뚫을 무기는 언제나 새로 개발되는 것처럼. 다만 시간이 관건이다. 영원한 비밀은 없지만 오래 버티는 비밀은 가능하다. 전쟁터에서 적지를 공격하기 위해 보내는 암호는 공격이 이뤄지기 전까지만 풀리지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눈 뒤에 커다란 구멍(측두
창
)이 생긴 것이지요. 포유류는 측두
창
이 하나지만 파충류는 두 개라서 턱 근육을 더욱 발달시킬 수 있었어요. 그래서 오늘날에도 파충류가 포유류보다 턱 힘이 더 강하답니다.턱이 없는 동물은 먹이를 자르지 못해서 무조건 한 입에 넣어야 해요.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에 밝혔다. 연구팀은 목과 가슴 사이에 있는 V자형 뼈(
창
사골)와 깃털을 근거로 들었다. 공룡이 추위를 이기기 위해 돋아난 깃털로 날갯짓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공룡과 새의 가장 중요한 공통점은 기낭이다. 공룡은 산소가 적은 중생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호흡의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마사이족이 아닌 다른 사람일 경우에는 바로 눈 앞에서 코끼리에게 뾰족한
창
을 휘둘러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겁니다. 냄새로 사람 구분하는 아프리카코끼리 영국 리처드 바이른 교수팀이 케냐 국립공원에서 실험한 실제 사진. 마사이족 고유의 옷(A)과 캄바족이 입었던 옷(B)을 주고 행동을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세포분열 횟수가 다를 뿐이지, 세포 자체는 비슷한 노화 과정을 밟는단다. 예를 들어
창
밖의 늑대처럼 포유류는 나이를 먹으면 털색이 변하거나 빠지는 경우가 많아. 사람처럼 살갗이 쪼글쪼글 주름지기도 하지. 늙은 포유류는 숨이 가빠지고 심장병에 걸리거나 몸의 노폐물을 걸러내는 신장의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ISS)에 도킹해서 수 일간 지내다가 내려온다. 우주관광의 로망, 온전히 둥글고
창
백하게 푸르른 지구를 볼 수 있다. 발사 후 ISS에 도달하는 시간은 수 시간에서 길면 수 일이다. 지구 상공에서 ISS까지 직선 거리는 350km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에 불과하지만, ISS가 초속 8km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계속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➍ 큰가제바위의 수중 바닥에서 위를 보면 파란 ‘하늘
창
문(하늘
창
)’이 보인다. ▲ 해양과기원에서 만든 독도 수중 생태지도.➎는 동도연안과 수중 모습.➏은 독립문바위,➐은 하늘에서 본 독도 전경.“독도·울릉도 수중 10경 세계에 알릴 것”해양과기원은 이번에 생태지도를 발표하면서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동그란 지구최고비행고도인 110km를 알리는 알람이 울렸다. 지구방향
창
문으로 향했다.
창
문 너머로 얇은 대기층과 지구의 둥근 가장자리가 보였다. 한 번도 보지 못한 지구 풍경이었다. 우주에 왔음을 더욱 실감했다. 궤도비행 우주선이 아니기에 미국 주변만 보는 게 못내 아쉬웠다.하강나는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쏠 수 있다. 조선군은 활과 화약 무기 같은 원거리 무기 사용에는 능숙했지만, 칼과
창
같은 단거리 무기 사용에는 서툴렀다. 따라서 조선군이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어 나가려면 배 안에서 화포를 쏠 수 있어야 했다. 판옥선은 소나무로 튼튼하게 만들어 배에서 화포를 쏴도 끄떡없었다. 하지만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