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슘"(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변해요. 망고주스에 섞은 알긴산 이온과 커다란 그릇 안의 칼슘 이온이 만나 알긴산 칼슘 막을 형성해 표면이 굳거든요.준비물 : 망고주스, 물, 알긴산, 염화 칼슘, 숟가락 우유맛 계란 흰자우뭇가사리에서 얻을 수 있는 한천은 물에 넣은 뒤 온도를 85℃ 이상으로 높이면 녹는 답니다. 그리고 다시 32~ ... ...
- 하트 성게의 ‘종잇장 갑옷’ 경량재료에 아이디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많은 탄산칼슘으로 이뤄진 분필이 매우 잘 부서지는 것과 상반되는 이유가 바로 탄산칼슘 지지대라고 밝혔다. 하트성게의 껍질에는 1mm2 당 5만~15만 개의 지지대가 있었다. 연구를 진행한 더크 무터 교수는 “하트성게의 껍질은 외력에 의한 압축과 마찰에 대응하는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다”며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면 어떤 원소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 색에 따라 칼슘, 철, 코발트, 구리, 납, 비소 등의 검출 비율이 달랐는데, 연구소는 이를 바탕으로 현판을 이루고 있던 원재료의 재료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예를 들어 붉은색은 납과 철이 주로 검출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부수거나 물 밖으로 갖고 올라와선 안 된다”고 신신당부했다. 자포동물인 산호가 탄산칼슘으로 뼈대를 만들면, 식물 플랑크톤이 안에 들어가 산다. 식물 플랑크톤이 만들어내는 산소와 산호가 낳는 알(물고기의 먹이가 된다) 덕분에 산호 근처에는 늘 다양한 해양생물이 북적댄다. 완벽한 수영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을 때 벽돌 사이의 경계가 벽돌 중간에 오도록 엇갈리게 쌓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탄산칼슘 층이 쌓여 있지요. 그리고 층과 층 사이의 공간은 단백질로 메워져 있어 단단하면서도 깨지지 않는답니다.연구팀은 진주층과 마찬가지로 탄소원자의 사슬과 사슬 사이에 1nm의 아주 얇은 점토층을 끼우며 ...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소년을 타이릅니다. “오구오구, 그랬쪄요? 잘했쪄요~.” “우씨!” 물에 녹았던 탄산칼슘이 다시 굳으면서 생긴 것이 바로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석순, 종유석, 석주입니다. 천장에서 바닥으로 한 방울씩 떨어져 마치 대나무 순처럼 쌓인 게 석순, 천장에서 흐르다가 그대로 굳어버린 고드름이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결국 어떤 효소가 활성화되느냐에 달렸다. 예를 들어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 안의 칼슘과 호르몬 같은 신호 물질의 농도가 바뀐다. 스트레스가 메틸화효소에 영향을 주지 말란 법은 없다. 스트레스가 DNA 메틸화를 증가시키는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그것이 DNA에 기록될 수 있다. 후성유전적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캐비어의 부피가 클수록 크다. 반대로 캐비어를 만들 때 알긴산나트륨을 섞은 액체를 칼슘 용액에 떨어뜨리는 속도에 반비례한다. 물과 기름이 만나는 조건분자요리는 절대 섞일 일이 없어 보이는 물과 기름을 섞는 데도 성공했다. 물 안에 기름방울이, 또는 기름 안에 물방울이 잘게 쪼개져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아노박테리아는 주위에 분비물을 내어서 생물막(biofilm)을 만드는데, 이 때 물에 있는 칼슘 등의 광물질이 퇴적되면서 생물막이 딱딱한 구조물로 변한다. 새로 번식하는 박테리아가 기존의 생물막 바깥에 붙으면서 이 구조물이 점점 두꺼워지고 암석화된다. 이것이 스트로마톨라이트다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데뷔한 페로브스카이트가 가장 역사가 짧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천연 물질인 메타티탄칼슘(CaTiO3)처럼 ABX3 결정 구조를 갖는 모든 화합물을 말한다. 정육면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꼭짓점에 가장 크기가 큰 양이온 A가 있고, A보다 작은 양이온 B가 정육면체 중앙에 존재하는 구조다. B가 A보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