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궁 1004] 천사 173-1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 기쁘다. 다만 얼마 전에 이 방이 운석에 부딪치면서 제어 컴퓨터가 떨어져 나갔다. 우주복을 입고 나가 직접 암호를 넣어야 한다. 티티르는 소녀를 따라 우주복을 입는다. 그런데 밖으로 통하는 에어록을 열려고 하니, 암호로 잠겨있다. 모든 일이 끝난 뒤 티티르와 소녀는 ... ...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나왔습니다. 연구원들은 프로그램을 다시 컴파일(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한 뒤 차근차근 다운로드를 해 시험했습니다. 하지만 이 세 번째 가설도 아니었습니다. 마치 운명의 장난처럼 수정을 하고 처음 그리고 두 번째 시험까지는 정상 ... ...
- OUTRO. 위험 인식의 정치성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발전이 안전하고, 과학자들이 정한 기준치 이하의 방사능은 마치 병원에서 X선 촬영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을 하는 것처럼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진보적인 사람들은 이런 위험을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또 위험은 정치권에 정치적 공세를 펼 수 있는 이슈를 제공한다. 현재 야당은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잘 이해 못할 때가 있어서 엉뚱한 답을 내놓을 수 있으니 그때는 챗GPT가 이해할 수 있는 컴퓨터 문법으로 수식을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QR코드를 찍어 알아보자. 또한 문제를 제시한 뒤, 풀이 방법을 설명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또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토론에 앞서 사회자인 김영국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교수이자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 센터장은 “자동차, 검색사이트, 공학계산기 등 신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이 기술을 허용할 것인지 말 것인지 식의 논란은 역사상 계속 있어왔다”라면서, “이 기술이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또 거대화된 소프트웨어는 탄소를 대규모로 배출할 수 있다. 류 교수는 “기후변화에 컴퓨터과학도 책임을 져야한다”며 “지속가능성과 민주주의가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주요 가치로 상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방 소통’인 까닭에 원하는 것이 있으면 목표에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존재인지에 대한 더 심오한 이해를 가능케 할 것이다. 또한 인간처럼 계산하는 바이오컴퓨터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바야흐로 뇌과학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 신경발생학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데 관심있다. 저서로 '나는 ... ...
- [핫이슈]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비밀 편지, 400여년 만에 암호를 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로써 편지의 발신인이 프랑스어로 편지를 썼다는 사실을 확신할 수 있었답니다. 컴퓨터 알고리즘으로도 해독할 수 없는 기호들이 있었어요. 바로, 기호의 옆면이나 아래에 점과 같은 부호가 있는 경우지요. 같은 기호여도, 부호가 없는 기호와 부호가 있는 기호는 각각 다른 글자를 나타내요.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챗GPT는 수학자에게 얼마나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 AI를 연구하는 김건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수학이라는 분야가 워낙 넓어서 챗GPT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직업이라고 단언하기 어렵다”라면서도, “수학에서 챗GPT의 도움을 받는 분야가 점점 넓어지고 생성형 AI가 수학자가 잘하는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식을 폭넓게 접했어요. 첫 마음으로 다시 찾은 나만의 북극성 KAIST 대학원에선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전공하며, 연구와 개발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배웠어요. 연구자는 알려지지 않은 것을 탐구해 새 지식을 만들고, 개발자는 사람에게 유용한 것을 만듭니다. 지식을 익히는 것과 만드는 것의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