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감탄
감탄사
유연
회복력
탄성고무
고무
d라이브러리
"
탄성
"(으)로 총 69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조류 발성도 ‘공기 반, 소리 반’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새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근
탄성
공기역학 이론’에 의해 소리를 낸다고 밝혔다. 근
탄성
공기역학 이론은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1초에 100~1000번 가량 후두 근육이 개폐되면서 음파가 만들어진다는 이론이다. 연구팀은 6종의 새를 이용해 발성기관인 시링크스(syrinx)의 근육운동과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그렇다면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요?
탄성
있는 줄과 갈고리, 그리고 롤러코스터의 힘을 이용한 트릭이라면 정황상 피해자의 뒷사람일 확률이 제일 높습니다. 거리도 70cm로 가깝기 때문에 안전장치로부터 몸을 다 빼지 않아도 피해자의 목에 접근할 수 ... ...
열 한 번째 대결 높이 높이 날아라~! 나만의 비행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고무줄을 비행기에 달려 있는 갈고리에 걸고 길게 당겼다 순간적으로 놓으면, 고무줄의
탄성
때문에 비행기가 힘차게 날 수 있답니다.STEP➋ 창의력을 발휘해 보자!이번엔 나만의 비행기를 만들어 볼까요? 이번에 쓰인 비행기는 조립식이라서 마음대로 비행기의 구조를 바꿀 수 있어요. 게다가 모든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얇은 필름지를 덧댄 천을 접어서 ‘매직 볼 패턴’대로 바퀴 모양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탄성
을 이용해 바퀴 모양을 바꾸기 쉽도록 바퀴 축에 용수철을 끼워 넣었답니다. 그 결과 높은 계단 같은 턱을 발견하면 바퀴 축에 있는 용수철 길이를 줄여서 바퀴가 불룩하게 만들 수 있어요. 반대로 작은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자동차가 달려간답니다.그런데 고무줄을 여러 개 이용한다고 무조건 좋은건 아니에요.
탄성
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처음에 늘리는 데 엄청난 힘이 필요하거든요. 그러면 바퀴 축을 돌리는 횟수가 줄어들어서, 결국 초반 속도만 빠를 뿐 이동 거리는 짧아진답니다. 도전자들은 각자가 만든 자동차에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층에 걸리는 힘을 파악해 지진 순간을 예측하기 위해서지요. 응력계는 지층의
탄성
과 에너지를 측정하는 기계예요. 과학자들은 이 기계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지층이 얼마 휘거나, 부서질지 계산한답니다.예측보단 경보가 중요하다과학자들은 현실적으로 지진이 일어났을 때 인명 피해를 최소로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대기가 건조해지면 공과 배트의
탄성
력이 높아진다. 투수들이 족족 맞아나가자 콜로라도 구단은 2000년대 초반 야구공을 저온가습실에 넣어 반발력을 줄이는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 경기 시작 전까지 5℃ 내외의 온도에 40% 습도를 유지하는 야구공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콜라를 거름종이에 부었지요. 잠시 뒤 비커에 투명한 물만 흘러 내려오자 ‘우와~’ 하는
탄성
이 나왔어요. 콜라가 생수로 변신한 것 같았거든요. 이건 바로 활성탄 때문이래요. 활성탄 표면에는 달처럼 움푹 패인 구멍이 많아요. 콜라에 있던 색소 물질이 활성탄의 구멍에 달라붙어 분리된 거예요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한다. 두 교수는 나노 입자만큼 미세한 수준에서 보면 종이 띠가 휘면서 그 지점에
탄성
에너지가 쌓인다고 설명했다. 많이 휜 부분일수록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적었다. 18세기가 되자 오일러, 달랑베르, 베르누이 등 걸출한 과학자들이
탄성
계의 운동을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했다.편미분방정식의 중요성은 날로 커졌다.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세운 전자기 방정식에서 절정을 이뤘다. 맥스웰은 전자기 현상을 편미분방정식으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