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동"(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미세한 파동을 확인하고, T파 관측소는 해안가주변에서 지각이 흔들리면서 생기는 파동을 측정한다. 특히 수중 청음 관측소에서 나온 결과가 중요하다. 이론적으로는 단 하나의 수중 청음 관측소가 전 세계 바다를 모두 감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도가 높다.대기 변화를 관측할 초 저주파 관측소도 6 ...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아주 많이 모여 서로 에너지를 전달하면 파동현상이 일어난답니다. 이처럼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해요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 없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의 파동함수는 복소수로 이뤄진 함수이므로, 한 바퀴 빙 돈 파동함수가 원래의 함수와 같으려면 위상 차이가 2π의 정수배여야만 한다. 수식을 풀면, 자기다발 값이 불연속적인 값 (h/2e 의 정수배)만 가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자기다발(Φ₀=h/2e )에 전자의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는 값처럼 보인다. 물리학에선 이 ‘무언가’를 빛알(광자)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인 파동설에서 벗어나, 빛의 본질을하나씩 셀 수 있는 알갱이로 보는 관점이다.아인슈타인은 빛알 개념을 통해 광전효과를 완벽히 해석했다. 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자가 금속판에서 튀어나오려면 일함수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결국 펄스라는 불연속적인 파동의 모임이다. 알파벳에 비유하면 C, A, T에 해당하는 파동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빛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펄스다. 그런데 이 펄스가 너무 빠를 때는 정보의 양이 엄청나게 커진다.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차들을 생각해보자. 시속 100km로 100m 간격을 두고 달리는 11대의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자기 이론을 유도하려 했다. 반면 포크와 론돈은 여기에 허수단위 i를 곱해서 길이를 파동의 위상으로 바꾸면 맥스웰의 전자기이론과 합치됨을 증명했다. 무엇보다 실험으로 대단히 정밀하게 검증된 양자전기역학이 포크와 론돈의 이론과 맞아떨어졌다. 그러나 포크와 론돈의 이론은 엄밀히 말해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포 속에서 풀리고 꼬이는 DNA, 공기가 만드는 여러 가지 파동에 대한 연구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전 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매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검출 감도는 10배 높아졌다.귀가 밝은 사람만이 멀리서 나는 약한 소리도 들을 수 있다. 파동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검출 감도가 10배 좋아진 라이고는 X, Y, Z축으로 각각 10배씩, 총 1000배 넓은 영역을 탐사할 수 있게 된다. 우주에서 중성자별과 블랙홀로 이뤄진 쌍성계가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기장과 자기장이 끊임없이 상호 유도작용을 하면서 파동이 전파될 수 있었다. 또한 그 파동의 이론적 속도가 빛의 속도를 관측한 값과 매우 정확히 일치했다. 이를 통해 맥스웰은 빛과 전자기가 같은 작용이며, 빛이 전자기법칙을 따라 장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 즉 전자기파라는 결론을 내렸다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모르는 부산물이 생긴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잠시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이른바 ‘간장파동’). 문제의 물질은 3-모노클로로프로판-1,2-디올(3-MCPD)로, 지방산이 고온의 환경에서 식품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생긴다. 하지만 2010년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청(현 식품의약품안전처)이 낸 자료(3-MCPD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