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d라이브러리
"
푸른
"(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찾았다! 양자컴퓨터 만들 위상절연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위상절연체 물질로 적합하다는 것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비스무트 요오드화물은 ‘
푸른
납’이라고 불리는 원자번호 83번의 비스무트가 요오드와 화합한 물질이다.연구팀은 비스무트 요오드화물에 전자빔을 쏴 방출되는 빛을 측정했다. 그 결과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전자는 ‘업(up)스핀’ 상태,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잎들을 모두 떨구고 양분의 이동통로를 차단해 버린 채 겨울을 나요. 그렇다면 소나무의
푸른
잎은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뎌내는 것일까요?사실 겨울을 나는 게 어렵기는 소나무 같은 침엽수들도 마찬가지랍니다. 그래서 우리 눈에는 잘 띄지 않지만, 소나무의 잎들도 조금씩 겨울에 적응하도록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확인했다. 연구팀은 당시 폴락의 그림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었던 1952년 작품 을 분석했다.그림을 유심히 관찰해 보니 서로 길이가 다른 두궤적이 어우러져 있었다. 2~5cm의 긴 궤적은 플록이 몸을 움직이며 물감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1mm~5cm의 짧은 궤적은 통에서 물감이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차리고 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봤다. 눈앞에는 형용할 수 없는 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푸른
빛의 탑이 보였다. 뾰족뾰족하고 날카로운 모습의 탑은 마치 외부인을 힘껏 경계하고 있는 것 같았다.“으악, 뭐야? 당신은!”순간 단은 너무 놀라 뒤로 자빠져버렸다. 사람 키보다 족히 다섯 배는 더 큰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노란 유전자와
푸른
유전자다. 그래서 노란 콩 아니면
푸른
콩만 있다. 누르께한
푸른
콩은 있을 수 없다.멘델의 유전학은 완전히 묻혀 있다가 1900년대 초에 이르러 몇몇 학자들에 의해 재발견됐다. 다윈의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에서 빠져 있던 퍼즐 한 조각을 드디어 찾은 것이다. 진화학자들이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박고 있는 습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서에는 이외에도
푸른
색의 눈을 가진 작은 개구리와 드라큘라처럼 송곳니를 가진 물고기 등 최근 6년간 히말라야에서 발견된 신기한 모습의 동식물이 실려 있어요. 세계야생기금은 히말라야에서 동식물들의 서식지 중 25%만이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사용하기로 했어요.붓을 이용해 형광분말을 묻혀 지문이 있는 곳을 부드럽게 쓸어낸 뒤
푸른
빛을 비추었어요. 그러자 형광색을 띠는 지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어요. 형광분말이 지문이 있는 자리에만 붙기 때문이에요. 범인의 지문은 소용돌이 물결 모양이었어요.이번에는 금고 앞에 찍힌 발자국을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피 색깔도 독특해요. 새파란 하늘색이거든요. 이렇게 파란 피를 갖는 건 피 속에
푸른
색을 띠는 산화구리가 있기 때문이에요. 투구게뿐만 아니라 문어와 거미도 파란 피를 갖고 있지요. 반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는 모두 빨간 피를 갖고 있어요. 피 속에 ‘헤모글로빈’이라는 혈색소가 들어 있기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굴절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이 나방은 날개가 전체적으로는 연둣빛을, 테두리는
푸른
빛을 띠었다는 사실을알아냈다.KEY 4 시조새는 공룡이 아니라 새화석을 연구하면 이미 멸종한 여러 동물 사이의 관계도 알 수 있다. 공룡에 가까운지, 아니면 새에 가까운지 오랫동안 수수께끼였던 시조새의 정체도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현상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않던 전류가, 아주 약한
푸른
빛을 쏴 주자마자 흐르기 시작하는 현상은, 정말 신기했지만 누구도 설명하지 못했다.1905년 아인슈타인은 플랑크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에너지 양자 개념을 이용해 광전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해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