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케이크 조각 모양 경기장?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로 이뤄진 오각형 모양이에요. 직사각형 1개와 직각삼각형 1개를 이어 붙인 모양이기도 하지요. 내야의 한가운데에서 투수가 공을 던지는 구역은 동그란 원 모양이랍니다. 용어 정리타자★ 야구에서 배트로 공을 치는 선수예요.투수★ 야구에서 상대편 타자가 칠 공을 던지는 선수예요 ... ...
- [도전! M 체스마스터] 누가 더 많을까? 공격 VS 수비 계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기물보다 많은지 적은지 비교해요. 만약 수비수가 더 많다면 공격에 나서지 않아야 하지요. 공격수와 수비수를 세어 보자! 흰색 팀이 d5에 있는 검은색 폰을 공격하려고 해요. d2의 흰색 룩으로 폰을 잡으면, 곧이어 d8의 검은색 룩이 d5에 있는 흰색 룩을 공격할 수 있어요. 그러면 다시 d1의 흰색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갖고 있어요. 그래서 다른 쥐에게 같은 킬러 T 세포를 주입해도 킬러 T 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거지요. 도허티와 칭커나겔의 연구는 킬러 T 세포의 특이성을 발견한 첫 사례였어요.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그에 맞는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한답니다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정육면체 모양의 복셀을 기본 단위로 사물, 동물, 캐릭터를 만들고,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하지요. 메타버스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가상공간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질 것이기에 이 직업의 전망은 밝아보여요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떼려야 뗄 수 없는데요. 뉴턴의 고전 역학은 유클리드 기하학에 기반해 이뤄져 있어요. 하지만 현대 물리학의 핵심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필요해요. 대표적인 예로 길을 찾을 때 쓰는 GPS가 있어요. GPS는 지구 밖에 있는 인공위성에서 ... ...
- [출동, 슈퍼M] 색종이는 왜 정사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완전히 겹쳐지는 도형을 ‘선대칭도형’이라고 해요. 이때, 그 직선을 ‘대칭축’이라고 하지요. 정사각형은 사각형 중에서 대칭축이 가장 많은 도형이에요. 정사각형 색종이를 가로로 반 접으면 완전히 겹쳐지고, 세로로 반 접어도 완전히 겹쳐지지요. 대각선으로 접어도 마찬가지예요. 즉, ... ...
- [가상 인터뷰] 블랙홀, 암흑에너지로 우주를 팽창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번 연구는 블랙홀이 암흑에너지의 원천이라는 주장을 관측으로 확인한 첫 사례야. 하지만 블랙홀이 우주의 73%를 이루는 암흑에너지를 가진 채 어떻게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지. 과학자들은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어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공부하지요. 영재학교에서 챗GPT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고 싶다면 18쪽을 확인하세요. 하지만 기업에서는 정보 보안의 문제로 챗GPT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어요. 삼성전자는 DS(Device Solutions) 부문에 한해 챗GPT를 허용했다가 반도체 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나기도 했어요. 챗GPT가 세상에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형태의 기술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챗GPT의 문제점만 생각하느라 챗GPT조차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받아들이면 힘들지 않을까요. 선동현 단점이 있더라도 그것을 메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논리는 교육 문제에선 좋은 논리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단점이 사소해보여도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결과를 분석해요. 언제, 어떤 모델을 썼을 때 문장이 자연스럽게 나오는지 그 결과를 비교하지요. 그런 뒤 또 할 일을 나누죠. 어떤 팀원에게는 필요한 부분을 다시 테스트시키고, 다른 이에게는 논문을 쓰라고 하죠. 크래프톤의 AI 연구원이 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나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