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벌교 기수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기사 l20220728
- 꼬리지느러미에 무늬가 있으면 '풀망둑' 없으면 '문절망둑'입니다위 동정법을 이용하면 이 물고기가 '풀망둑'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구분하실 수 있겠나요? 현장에서 많이 접하고, 계속해서 보다 보면 동정할 수 있습니다! 이 어류는 '송사리'입니다. 기수역에서 나오는 것을 보니, 송사리도 염분에 꽤 강한 물고기인 것 같습니다. 아니면 이 전날 많 ...
- POP- POP! 팝콘 플래닛 스토리콘, 어떻게 쓰는 건데요?기사 l20220720
- 잘 따라오셨는데, 지문/등장인물/주인공 이게 다 뭐냐고요? 저도 처음에는 조금 놀랐습니다. 인터넷 소설인만큼 쓰기 편하게 구분된 것이니 놀라지 마세요! 우선 쓰는 법입니다! 지문을 누르고 아래의 창에 글을 쓰시면 [ 김현재 ] 이런 식으로 등록이 됩니다! 또, 옆의 '주인공'이라고 써있는 걸 누르고 창에 글을 쓰시면 [주인공] ...
- 모기, 나쁘기만 할까?기사 l20220710
- 모기 남:아, 네. 우서 저희 수컷이 피를 빨지 않는다는 것은 알고 계시죠? 하지만 문제는, 사람들이 그 사실을 알더라도 암수를 구분하지 않고 마구잡이로 죽인다는 거죠. ...
- 청와대 관람 후기기사 l20220707
- 안 되어 아쉬웠어요ㅜ 2-3 대통령 관저 대통령과 그 가족이 생활하는 대통령 관저는 대통령의 공적인 업무 공간과 사적인 업무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곳입니다.들어가보진 못했고 마당만 산책해 보았어요.하지만 너무 덥고 습해서 죽을 뻔 했답니다...(하필 그때 물도 다 떨어짐..물 꼭 챙겨가시고 양산,선풍기는 팔수입니다.너무 더워요.) 이것으 ...
- 나는 인싸일까요? 아싸일까요? (테스트)포스팅 l20220706
- 점수가 됩니다 만약 10문항에서 3문항을 yes라고 답했으면 자신의 인싸점수는 3점이 되는 거죠 이제 인싸인지? 아싸인지 구분 ㄱㄱ 0~1개 극강아싸 2~3개 인싸가 되고픈 아싸 4~5개 인싸 아싸 사이의 그 미지의 구간 6~8개 인싸 9개 최강인싸 10개 최강초특급 인싸 (친구가 거의 백만군 ...
- 똥, 제대로 알고 싸자.(변비 잘싸는 법)기사 l20220706
- 건강을 판단 하였습니다. 그럼, 변비에 대해 알아 볼까요? 출처: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70829/86065539/1 사실상 똥의 종류는 구분하기 어렵지만 브리스롤 대변 형태 척도로 알 수 있습니다. 보통 1~3형이 변비죠. 그런데, 수학자들은 이를 보고 떠오른 난제가 있습니다. ...
- 드림버스에 이은 새 세계관 피더버스포스팅 l20220703
- 때도 있고 흡수할 때도 있다. 결론적으로 세 날개 모두 명암이 없다. 이것이 원래 눈이 검거나 회색인 사람과 카오스, 피더블인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또 이들은 가끔 폭주를 하기도 하는데 자신의 힘을 증폭시켜 특정 목적에 활용하기 위해 폭주유도제를 사용하거나 심신 수련으로 이를 조종하는 등 일부러 폭주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격한 감정을 ...
- 아니;; 이거 진짜 뉴스에 나와야 할 급인데 요. .포스팅 l20220624
- 나이가 쫌 잇으신 남자분이세요 저희 반은 원래도 시끄러운데 미술 시간만 되면 더 시끄럽거든요..?그래서 그 때도 남녀노소 구분 없이 다 일어서서 떠들고 미술 그림 안그리고,,근데 여자애들보다 남자애들이 더 시끄러워서,----그래서 미술 쌤이 남자애들 한테 여자애들 피해 주지 말고 빨리 대화하지 말고 열심히 하라고 몇 번을 말하셧어요,,근데 어떤 ...
-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622
- 핀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3~4 월은 철쭉이 아직 꽃이 피어나지 않는 시기이므로 산에서는 잎은 없고 꽃만 피어있는 진달래를 구분하기 쉽다고 합니다. 여러분도 철쭉과 진달래의 차이점을 아셨죠? 그리고 여러분이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안에서 볼 수있는 철쭉은 주로 산철쭉 입니다. 철쭉 꽃은 한가지 끝에 2~3송이씩 달리며, 자주색 반점이 있 ...
- 제주 바이오블리치-씨티네이처챌린지기사 l20220621
- 퍼다 식용과 생활수로 이용하였다고 합니다. 습지마다 이름이 있어 구분하여 이용하였고 사람용과 가축용이 따로 있어 입구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헤설사 분의 어머님께서 물을 마시라고 하였을 때 눈을 감고 마시라고 할 정도로 참혹하였다고 합니다. 나중에 함덕초로 가셨을 때 친구들이 올챙이 들어있는 물을 마신다고 놀리기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