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조상"(으)로 총 3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아지의 종류를 함께 알아볼까요?기사 l20190821
- 어떤 강아지의 종류를 좋아하나요? 저는 제가 좋아하는 강아지 3종을 골랐습니다. 1.포메라니안 포메라니안은 북방 스피츠가 조상인 귀여운 동반견 입니다. 귀여운 미모에 비결은 브러싱인데요, 조그만 체구에 귀여운 종종걸음으로 돌아다니며, 탐스러운 털을 나부끼는 모습이 높은 인기를 구가해온 비결입니다. 반면, 신경질적인 면이 있어서 새끼 때 ...
- 열분~~~!!포스팅 l20190801
- 제가요.. 흑.. 어.. 2달?만에 컴백했써요.. .!!!!!와.. 하두 오래되서 거의 제가 조상님 급.. ㅎㅠㅎ ...
- 특이한 공룡들기사 l20190723
- 머리에 있는 얇은 볏입니다. 몸집이 3M정도로 다른 티라노사우루스보다 작긴 작지만 이래뵈도 포악하기로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이랍니다. 초식공룡의 뿔은 무기로 쓰이지만, 이 녀석의 볏은 암컷에게 멋지게 보이기 위한 장식입니다. 콘카베나토르 여러분도 보시면 아시겠지만 콘카베나토르의 가장 큰 특징은 뭐니뭐니해도 등에 솟아있는 산모양의 등 ...
- [기자단 DAY]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에 다녀오다기사 l20190624
-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세정제, 분, 눈썹먹, 연지, 화장유, 향 등 전통화장 천연재료와 제조 도구들을 보면서 조상들의 지혜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한국 여성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자신에 맞는 화장품을 직접 만들어 썼다고 합니다. 녹두와 팥으로 가루비누를 만들기도 했고, 미백과 노화방지에 좋 ...
- 고은별 고고학자가 들려주는 [10대들을 위한 나의문화유산 답사기] 출간 기념 강연회 다녀왔어요~기사 l20190526
- 알려주셨어요...전 그동안 고고학자랑 고생물학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착각했었나봐요.. 고고학은 인간의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조상들이 남겨놓은 유물을 가지고 연구하는 학문이래요... 대개 선사시대-원사시대-역사시대로 이어지는데 역사기록이 있으면 역사시대지만 그 이전을 선사시대로 불리고 그 중간을 원사시대라고 해요.. 저도 처음 들어본 시대 ...
- 나의 몸은 어떻게 깨끗해 지는 걸까? 그의 이름은 비누!기사 l20190424
- 암염을 원료로 알칼리 물질인 '소다'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발명하면서 이때부터 비누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답니다. 이당시 우리 조상님들은 녹두가루, 쌀겨, 쌀뜨물, 잿물 등을 비누로 썼어요. 한편, '더러움을 날려 보낸다' 의 뜻인 '비루'가 지금의 '비누'가 되었다고 해요. 그러면, 우리가 비누를 쓸 때에 비누가 없을 때를 대비해서~ 비누를 만 ...
- 알고 보면 매력적인 곤충, 개미!기사 l20190407
- 가져다가 농사까지 짓는다고 합니다. 그 농사지은 포자는 공주개미가 여왕개미가 되어 왕국을 세울 때 원래 집에서 가지고 가서 조상 대대로 잇는다고 하죠. 이제 개미의 한살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미는 처음에 알을 깨고 나옵니다. 그리고 성충이 될 때까지 일개미의 보살핌을 받지요. 알에서 태어난 후 애벌레(2~3령)을 거쳐서 번데기가 되고 ...
- 유산균과 함께한 신나는 하루기사 l20190301
- 아무도 모르던 새로운 지식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김치’를 통해 이미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유산균을 섭취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놀라웠다. 유산균을 장까지 보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한다. 강한 산성의 위액에서 살아남아 장까지 가기 위해 사람들은 지금도 많은 연 ...
- 3.1운동이 일어난지 100주년을 기념하며...포스팅 l20190224
- 어떠한가요? 독립선언서도 낭독했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읽었습니다.간추린 것인데도 독립선언서 내용이 정말 길었습니다.그만큼 조상님들이 독립을 얼마나 원했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소망캡슐과는 별개로 3.1절을 기념하여 희망사항 쓰기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이렇게나 힘든생활을 했었다니 아직 믿기지가 않지만, 나도 노력해서 좋은 생활을 할 수 ...
- 우리의 새 까치와 꿩기사 l20190129
- 그렇다면 왜 노래에서 까치 설날은 어저깨라고 하는 것일까요? 또한 옛부터 까치가 울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설이 있었습니다. 조상님들은 설 전 날을 아치설과 비슷한 말로 불렀다는 데요. '아치'라는 단어와 '까치'라는 단어가 발음이 비슷해 그런 노래가 생겼다고 하네요. 그럼 이제 꿩에 대해 알아 볼까요? 꿩은 꿩과의 까치보다 약간 큰 새인데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