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말기"(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탈리아 손목폰, 스마트워치와 달라”, 자체로 독립적 폰동아닷컴 l2015.04.02
- 세계 어디서든 유심칩만 있으면 독립적인 스마트폰으로 쓸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 단말기로 사용할 경우 기존 스마트워치와 달리 별도의 번호와 유심이 필요 없다. 엑스터치 웨이브는 LG 정전식 터치스크린, 두 개의 하드웨어 버튼, 용두 위치에 있는 300만 화소 카메라, 시계줄, 스피커, 와이파이 ... ...
- 유·무선 인터넷 더 안전하게 사용한다2015.03.11
-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인증서가 내장된 마이크로 SD카드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단말기와 이용자, 서비스를 한 번에 인증해 주거나 네트워크 장비 서버의 주소를 가상 주소로 매번 바꿔 주는 방식을 이용해 보안성을 높인다. 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끊어서 보내거나 특정한 경로를 통해서만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13
- 하는데 필요한 운동, 즉 입는 로봇을 구동하는 에너지는 시각, 청각이 요구하는 정보단말기에 필요한 에너지 보다 훨씬 크다. IT기기를 구동하려면 작은 배터리 하나만 있으면 되지만, 로봇을 사람과 유기적으로 연결해 구동하려면 전기줄을 주렁주렁 매달고 움직여야 한다. 무엇보다 감각가관과 ... ...
- 스마트폰 6대만 있으면 고성능 홈시어터 안부러워2014.12.30
- 스피커를 야외에서 체험하고 있다. - KAIST 제공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개인용 정보단말기 여러 대를 모아 영화감상용 고성능 스피커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송준화·신인식 KAIST 전산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여러 대의 스마트폰 스피커로 5.1채널 서라운드 ... ...
- 국민 아이디어 1년 모으니 황금알 낳는 아이디어 ‘1만 3000건’2014.09.26
-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해 문을 열어주는 ‘얼굴인식 보안단말기’를 개발한 정규택 씨는 아직 매출을 내진 못했지만 창조경제타운의 지원을 받아 최근 보안전문업체 두 곳에 2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최 단장은 “앞으로는 대기업의 민간 지원 사업과 ... ...
- 인터넷 끊어져도 스마트폰으로 4개 언어 자동통역2014.09.01
- 하는 점도 단점으로 꼽혔다. 이번에 선보인 탑재형 지니톡은 모든 통역 프로그램을 단말기 내에 내장하는 방식으로 이런 문제를 해소했다. 또 근거리무선통신(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해 두 대의 스마트폰을 연결해 통역 결과가 직접 전달되도록 해 사용성도 높였다. 이날 시연된 시험버전은 ... ...
- [채널A] 스마트폰 정보 유출 원천 봉쇄…‘킬 스위치’ 의무화채널A l2014.04.15
- 인한 피해가 상당 부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합니다. " 평소 잠금 기능을 사용하고 단말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에 등록해두는 것도 좋은 추가 방안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economy/3/01/20140410/62441471/1 ... ...
- 아이폰6 새로운 이름은 ‘아이폰 프로’?… 과연 어떻게?동아닷컴 l2014.02.24
- 굳히기 위해 이제는 새로운 무언가를 내놓을 시점이 됐다”면서 “5.6인치급 아이폰6 단말기에 아이패드 나노(iPad Nano)라는 이름을 쓴다는 소문이 있다”고 예상했다. 일부에서는 “12.9인치 아이패드가 ‘아이패드 프로’로 불리는 것을 두고 5.6인치급 아이폰6는 ‘아이폰 프로’로 나올 가능성도 ... ...
- LTE 휴대전화, 무전기처럼 쓴다동아사이언스 l2014.01.28
- ‘기기 간 직접통신(D2D)’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원내 이동통신 실험실에서 단말기 간 직접 통신 시연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기술이 무전기와 다른 점은 4세대 이동통신(LTE) 규격 전파를 쓰기 때문에 사용하던 휴대전화 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다는 것 ... ...
- [초대석]세계수학자대회 유치 주역 박형주 조직위원장동아일보 l2014.01.27
- 암호에 쓰이고 있다. 현재 널리 쓰이는 교통카드에도 수학의 비밀이 숨어있다. 카드는 단말기에 대면 바로 정보가 읽히기 쉽게 만들어야 하는데 정보가 쉽게 판독되도록 하는 것과 보안 문제는 모순관계에 있다. 다시 말해 보안을 위해 암호를 복잡하게 만들면 해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생긴다. ... ...
이전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