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그내슈움
마그네슈움
마그네이슘
마그네지움
마그네지
탄산마그네슘
탄산
뉴스
"
마그네슘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높기 때문에 한번 충전해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도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교체한
마그네슘
판은 재처리를 거치면 다시 쓸 수 있다. 2012년 한국과학기술원구원(KIST)은 이 배터리를 개발해 시험운행까지 마쳤지만 아직 상용화 논의는 없는 상황이다. 아예 고속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 ...
MRI 성능 큰 폭으로 끌어 올린다
2014.08.13
호주 울런공대학교 김정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초전도 재료물질인 ‘MgB₂(이붕화
마그네슘
)’의 새로운 생산공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MgB₂는 기존에 상용화 돼 있던 저온 초전도 선재에 비해 임계온도가 높은 것이 장점이다. 기존 재료로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려면 ... ...
3배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7.09
갈아 넣은 뒤 가열한 것이다. 이때 염화나트륨은 모래에서 나오는 열을 흡수하고,
마그네슘
은 발생하는 산소를 없애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 이 음극을 리튬이온전지에 넣자, 전지의 수명이 기존 전지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오즈컨 교수팀은 그동안 순수한 실리콘을 이용해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지금부터는 좀 반칙을 해서 전공 공부를 할 때 주워들은 것들을 동원해야겠다. 먼저
마그네슘
(Mg)과 망간(Mn), 아연(Zn)으로 특정 효소가 활성을 띠려면 꼭 필요하단다. 구리(Cu)도 비슷하게 쓰인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다. 그리고 수년 전 비소박테리아 논문이 나왔을 때 비소(As)도 극미량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어려워지자 새롭게 ‘생분해성 배터리’까지 추가로 개발했다. 이 배터리는
마그네슘
호일과 철,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으로 만들었다. 이들은 금속이지만 저분자 물질이어서 체내에서 서서히 용해되는 특성을 이용했다. 전극 사이에 들어가는 배터리액은 인산 성분이 들어간 식염수를 이용해 ... ...
남극에서 찾은 운석, 화석 박테리아의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생명현상의 필수 요소인 ‘탄소’가 다량 함유된 물질도 찾아냈다. 야마토 운석은
마그네슘
과 철을 함유하는 규산염 광물로 이뤄졌는데, 이들 내부에서 주변보다 탄소를 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는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구 형태의 물질이 발견됐다. 화이트 박사는 “1911년 ... ...
과학기술로 국방 전력 지원 강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때도 소금물만 교체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에는
마그네슘
매장량이 많아 전지 기술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도 싸다. 이와 함께 현재의 ‘발칸 대공표적 추적훈련 감독기’ 개선작업에도 나선다. 발칸 대공표적 추적훈련 감독기는 카메라, 컴퓨터, ... ...
나노입자로 연결된 면역세포, 면역력 2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을 고정시켜 면역세포에 전달해 강력한 면역반응을 끌어내는 것. 그러나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나노입자를 이용한 기존 면역항원보강제는 염증이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었다. 유 교수 연구팀은 병원균 침입시 가장 먼저 대응하는 수지상세포와 항체를 만들도록 지시를 하는 T림프구를 금과 ...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12.01
바이러스 ‘M13’을 이용했다. 이 바이러스는 물속에서
마그네슘
분자를 끌어당겨 산화
마그네슘
을 형성한다. 연구팀은 여기에 팔라듐을 소량 첨가해 전도성 높은 나노촉매를 완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나노촉매는 기존 나노촉매보다 표면적이 넓어서 전기화학반응이 더 빠르게 ... ...
신나는 가을 여행…더 강하고 가벼운 열차가 최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난연
마그네슘
을 만들 수 있다는 것.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난연
마그네슘
의 차체 적용을 위한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김 연구원은 “열차가 무거우면 레일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만큼 열차 무게를 줄이는 것은 열차운행속도뿐 아니라 경제성까지 확보하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