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열 폭주 예방 '스마트 단열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배터리
폭발 예방하는 소재를 개발한 임상혁 고려대 교수(오른쪽)와 윤정섭 고려대 박사과정생이다. 고려대 제공 ... ...
가볍고 유연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에너지 저장 33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기능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무게감 때문에 오래 착용하기 어렵고
배터리
용량이 제한적이어서 탑재 가능한 기능에 한계가 있다. 보다 가벼우면서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에너지 저장 능력이 큰 비정형 에너지 저장방식이 필요한 상황이다.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유연하고 가벼우며 ...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전극으로 99%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기술을 개발했다”며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은 물론 E-모빌리티의
배터리
전극재로 전환하는 자원 선순환 구조까지 제시한 의미있는 연구성과”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카본’ 최신호에 실렸다 ... ...
화재 걱정 없는 전고체
배터리
'열 안정성' 더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배터리
의 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며 “앞으로 안전한
배터리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지난달 4일 온라인 게재됐다 ... ...
이론으로만 알던 '소금이 물에 녹는 순간'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물 분자를 정밀하게 제어해 단일 이온 추출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온은
배터리
나 반도체 재료의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입자"라며 "단일 이온 제어기술을 이온의 역할에 관련된 기초 기술에 응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마그네슘 첨가제로 고품질 방열 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평가를 받는다. 최근 전자부품의 소형화, 다기능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전기차용
배터리
의 고용량화와 전자부품의 고집적화로 열 밀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고방열 특성의 방열 소재 필요성이 커졌다. 전기차 판매량을 기반으로 2025년 전기차의 열 계면 소재에 사용되는 방열 소재 시장은 약 9조700 ... ...
[과기원NOW] GIST 학부생들, 캠퍼스의 청춘과 열정 담은 '지스트의 온도' 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통해 리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전압이 높을 때도 안정적인 리튬 금속
배터리
용매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리튬 전지를 고전압에서 오래 쓰려면 전극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양극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해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연구팀이 최초로 개발한 용매는 ... ...
접착제 없이 전기로 '찰싹'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직류 전기를 흘리자 접착제 없이도 흑연이 닭고기(왼쪽), 토마토(오른쪽)와 접착됐다. ACS Central Science 제공 테이프나 접착제 없이도 전기로 물건을 ... 이뤄졌다"며 "생체 임플란트의 성능을 개선하고 바이오하이브리드 소프트로봇이나
배터리
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전극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지 확인하고, 생체 내
배터리
를 적용하는 등 BCI 상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27일(현지시간) 게재됐다 ... ...
주한영국대사관, 세계 여성의 날 맞아 '여성과학자 기후변화 간담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존스턴 영국 더럼대 교수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고체
배터리
용 전해질의 안전성과 용량 등을 개선하면 재생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진경 극지연구소 연구원은 인천과 같은 해안 도시가 평균 이상의 해수면 상승과 홍수에 취약할 수 있다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