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칙
불연속
단절
연락 없음
절연
이상
뉴스
"
불규칙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서워 마세요. 이길 수 있어요"…국내 코로나 완치 어린이 환자, 약한 증상만 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에서는 늑막에 가까운 폐 부위에서
불규칙
하게 퍼져 있는 불투명한 결절이 일부 보였다. 입원 후 검사에서는 비인두(코)와 목, 대변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입원 16일 차부터는 비인두와 목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대변에서는 17일 차에 ... ...
일단 잘 자야 코로나19도 이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2
수면 습관도 강조했다. 학회 측은 "부족한 수면과 더불어 면역기능을 약화하는 것은
불규칙
한 생활"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사람의 경우 주중에 일찍 일어나지만 주말에 몰아서 오래 자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경우 당일치기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처럼 몸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잠을 잘 자기 ... ...
[표지로 읽는 과학]3D 액정 속 카오스 첫 실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3.08
휴대용 계산기 등에 쓰이는 네마틱 액정은 입자들이 긴 축 방향으로 배열돼 있지만 서로
불규칙
하게 놓여 있다. 그런데 여기에 에너지를 가하면 결함이 생기면서 입자들의 구조가 달라진다. 연구팀은 카오스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3D 네마틱 시스템을 만들고, 미생물이나 액정을 관찰하는 ... ...
길어지는 코로나 휴교령…교육당국 학습 중단만 관심, 아이들 건강은 '뒷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3.05
017년 아이들은 여름방학에 신체 활동이 줄고 화면을 보는 시간이 늘어나며 수면 패턴이
불규칙
해지는 현상을 겪는다. 그 결과 체중이 늘어나고 심폐기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연구팀은 “심리적 영향은 이보다 지속적인 영향을 주므로 훨씬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판지앙 교수 연구팀은 ... ...
극저온에 더 강한 첨단 합금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구조를 이룬다.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규칙적이던 원소 배열의 격자구조가 깨지면서
불규칙
한 적층결함이 생기는데 적층결함이 발생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적층결함에너지라고 부른다. 엔트로피 합금은 힘이 가해질 때 원소 배열이 대칭적으로 놓이는 쌍정변형이 일어난다. 이 과정을 거치면 ... ...
뇌전증 발작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관찰하는 데도 성공했다. 뇌전증은 3대 뇌질환으로 꼽힌다. 뇌 신경세포의
불규칙
한 흥분으로 발생한다. 흥분한 뇌 신경세포는 포타슘이온을 바깥으로 내보내며 이완한다. 그러나 신경세포 내 포타슘이온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흥분상태를 유지하면 뇌전증의 증상인 발작과 경련이 일어난다. ... ...
아산의학상에 이원재·이재원 교수…젊은의학상에·주영석·이용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외과적 치료 수준을 세계적으로 끌어올린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심장이
불규칙
하게 뛰는 심방세동의 수술적 치료법인 ‘콕스-메이즈 수술법’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기존에는 좌심방을 절개해 손상 범위가 컸지만, 그는 냉동절개법을 활용해 좌심방의 기능을 60~75%에서 95% 이상으로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이 연구는 16일 네이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표지의 그림은 일반적인 다결정 재료의
불규칙
한 모습과 여러 이번 연구에서 합성된‘나노 다결정’입자의 구조를 형상화했다. IBS 제공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과학실험을 하다 우연히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와 태양전지 등에 널리 쓰이는 ... ...
태양계보다 더 오래된 물질 운석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더 오래된 알갱이가 발견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별이 생성되는 시기가
불규칙
하다는 가설에 손을 들어주는 결과라고 풀이했다. 태양 전 알갱이는 별이 수명을 다하고 폭발할 때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별의 생성 시기를 추론할 수 있다. 연구팀은 46~49억 년 전 형성된 알갱이는 ... ...
화성의 물, 계절이 바뀔수록 예상보다 빠르게 말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치는 화성의 봄과 여름에 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큰 바람이 부는 먼지 폭풍과 같은
불규칙
한 사건은 계절 변화보다 영향이 적다”며 “계절 변화가 대기 중 물의 양을 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화성은 지구와 비슷한 사계절을 갖고 있다. 화성 자전축이 지구와 비슷하게 2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