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뉴스
"
생체 분해
"(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교수팀이 개발한 센서를 전신에 장착한 모습(A)과 센서의 구조(B) 및
분해
도(C).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없이 무선 통신으로 ... 받아 전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승용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정현 광운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는 먹이가 부족한 동굴에서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01
발표했다. 생물체는 탄수화물 등 영양분을 섭취한 뒤 소화 과정에서
분해
돼 나오는 당 성분(글루코스)을 이용해
생체
에너지(ATP)를 생산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혈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사람의 경우 당뇨병을 앓는 등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긴다. 혈당을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해 주는 ... ...
[카드뉴스] 커피, 내 몸에 좋을까? Yes or No?
2018.03.08
쓴 이유 커피가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을
분해
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카페인을 마시면 심장질환이 생길 수 ... 여섯 잔 이상 마시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생체
리듬을 깨뜨릴 수 있어 중요한 일을 앞두고는 커피를 멀리하는 게 좋겠습니다 ... ...
필터 없이 공기 중 바이러스 잡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가지는 자외선이다. 워낙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세포 같은
생체
물질을 쉽게 파괴할 수 있다. 태양에서도 진공 자외선이 나오지만, ... 공기와 닿는 면적을 넓혔다. 그 결과 오존이 생성되자마자 이 촉매와 만나
분해
됐다. 환경부에서 정한 오존 대기환경 기준은 8시간 평균이 0.06ppm(1ppm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사람은 둘 다 표준형인 사람에 비해 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절반이 아니라 17%에 불과하다는 ... 낮은 효소). Aldh2 변이형이 하나라도 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50%가 아니라 17%인 이유다. 따라서 이런 ... 게다가 나이가 들수록 해독에 관여하는 NAD+ 같은
생체
분자의 농도가 줄어 전반적인 효율이 떨어지기 ... ...
‘제약사 포기에도 후퇴 없다’ 치매 조기 진단 춘추전국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RNA)이 치매 환자의 경우 정상인보다 빨리
분해
됨을 확인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RNA
분해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 분야 국내 대표적 연구자인 이종민 한양대 전기·
생체
공학부 교수는 “PET나 자기공명영상(MRI)과 딥러닝, ... ...
HIV 퇴치 첫걸음... 효소 반응 쉽게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바이러스(HIV)가 발현할 때 나타나는 RNA
분해
효소의 활성화 여부를 쉽게 확인하는 새 기술이 개발됐다.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의 연구 결과다.
생체
내 반응에는 대부분 효소가 관여한다. 효소의 기능에 따라 반응이 잘 일어나기도 하고 억제되기도 한다. HIV처럼 치명적 질병이 ... ...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
시계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2017.10.02
발견 덕에 식물이나 동물, 인간 등이 어떻게
생체
리듬에 적응하는지 설명할 수 있었다. 올해 ... 단백질이 쌓이게 만들고, 낮 동안에는 이들이
분해
되어 없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덕분에 우리는 ... 다른 유기 생명체의 세포에서도 같은 원리로
생체
시계가 작동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우리 몸 ... ...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
과학동아
l
2017.10.01
물 기반의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가 개발됐다. 천쉥 왕 미국 메릴랜드대
생체
분자공학과 교수와 캉 쑤 미국육군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소금물 ... 볼트로 낮았다. 흑연이나 리튬으로 만든 배터리 전극이 물 전해질에 의해
분해
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전극을 ... ...
환경오염과 암 문제 한번에 해결하는 화합물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있는 화합물 제조에 성공했다. 제초제에 포함된 ‘나이트릴 화합물’을
분해
하는
생체
모방 물질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다. 조재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은 상온·상압의 조건에서 나이트릴과 반응하는 ‘금속-활성산소 종’을 처음으로 합성했다고 28일 밝혔다. 금속-활성산소 종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