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뉴스
"
아시아
"(으)로 총 2,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엔 '수포자' 미국엔 '수학불안'…"연산학습지, 최악의 공부법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선택과목으로 고르지 않아도 대학에 입학할 수 있을 정도"라며 "최근 수학을 잘하는
아시아
계 사람이 IT 및 AI(인공지능) 산업의 고연봉 일자리를 독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슈로 떠오르며 수학불안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활발해졌다"고 말했다. 석박사 과정 때 장 연구원은 수학불안 정도에 따라 ... ...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수온의 상승세는 이례적으로 빠른 편"이라면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동
아시아
지역이 여름철 강한 복사열을 받은 데다가 저 위도로부터 고위도로 이동하는 대마난류가 강해지며 따뜻한 해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된 것을그 이유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기상청이 2022년 발간한 ... ...
8월 부산서 전세계 지질 석학 '영일만 석유' 토론
동아사이언스
l
2024.08.02
'과감한' 세션이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도릭 스토우 영국 헤리엇와트대 교수가 동
아시아
땅이 형성되는 데 영향을 준 고대 바다 '테티스'를 연구한 결과를 소개하고, 왕성산 중국지질대 교수가 중국이 백악기 송랴오 분지를 16년간 무려 8km를 시추한 과정을 설명하는 강연이 열린다. 지난 4월 ... ...
"호라이즌 유럽 잡으려면, 연구 파트너 최대한 확보해야"
2024.08.01
예정이지만 아직 협상 전이다. 한국이 올해 말로 계획된 최종 서명을 예정대로 마칠 경우
아시아
지역 최초로 호라이즌 유럽의 준회원국이 된다. ● 호라이즌 유럽 승산 높이려면, 컨소시엄 참여 기관 최대한 확보해야 랏소 부총국장은 "준회원국에는 국가 단위로 호라이즌 유럽에 참여해 중·대규모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섭씨 30도를 웃도는 초(超)열대야도 등장하고 있다. 이제는 전통적인 '장마'보다 동남
아시아
의 여름철 특징이지만 아직은 우리에게 낯선 '폭염'을 동반하는 '우기'(雨期)에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의 기후가 온대에서 아열대로 바뀌는 것이 반드시 재앙이라고 호들갑을 떨어야 할 이유는 ... ...
국내 최초 췌장이식 수술 성공…故 윤대원 이사장 자서전 ‘마이티 닥터’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국제 학술교류를 통해 의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웨덴 웁살라대로부터는
아시아
최초 ‘린네 골드메달’을 수여 받았다. 린네 메달은 세계 최초로 동식물을 분류한 생물학자 칸 폰 린네를 기리기 위해 웁살라대에서 제정한 상으로 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거둔 인물에게 ... ...
"바닥 드러낸 호수, 지구온난화 가속화하는 동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때문일 것으로 분석된다. 솔트레이크 호수뿐 아니라 이란의 우르미아 호수, 중앙
아시아
의 아랄해 등의 염호 수위 또한 낮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동식물 서식지가 줄어들고 바닥이 드러난 호수 퇴적물에서 이산화탄소, 메탄 등이 배출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 ...
간암 유발 'C형간염' 내년 국가건강검진…"증상 없다고 얕보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비율이 늘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300만~400만명이 감염되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은
아시아
지역 환자들이다. 만성 C형간염 환자는 현재 7000만명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권정현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국내 C형간염 환자는 2016년 경구용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도입된 이후 꾸준히 ... ...
국제우주연구위원회 우주환경패널 부의장에 윤기창 우주청 연구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장려하기 위해 설립됐다. 현재 전 세계 과학자 7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윤 연구사는
아시아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PSW 부의장으로 선출됐다. 경희대에서 공학박사를 수료한 윤 연구사는 2010년부터 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에서 근무했고 우주청 설립 이후에는 우주청 우주환경센터 연구사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성해왔다는 데 연구팀은 놀라움을 표했다. 연구팀은 “가이
아시아
를 적도 근처가 아닌 남쪽에서 발견했다는 건 초기 사족동물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서식하고 있었다는 의미”라며 “오늘날 파충류와 포유류 공통 조상에 대한 더 많은 해답을 얻는 데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