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염색체"(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2020.03.15
- 미량 원소다. 헵시딘(hepcidin)이라는 펩타이드는 철 흡수과 분배를 담당하는데, 19번 염색체의 긴 팔에 있는 HAMP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다. 그런데 염증이 일어나면 헵시딘의 농도가 확 올라간다. 간과 대식세포가 철을 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청의 철 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진다. 장에서 일어나는 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2020.03.10
- 9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의ACE2 단백질에 달라붙어 안으로 침투한다. 그런데 ACE2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가 잘 달라붙는 유전형(S형이라고 부르자)의 비율이 10%라고 가정하면 남성의 10%는 코로나19에 쉽게 감염되고 체내 바이러스 수치가 빠르게 올라갈 수 있다. 반면 여성의 9%는 ... ...
- 랜싯誌 "남성은 질병에 취약해서, 여성은 대처과정에서 고통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2020.03.09
- SARS, 사스)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등의 경우에도 성 호르몬과 X 염색체에 의한 보호 기작 등으로 여성의 감염 가능성이 낮았다”며 “코로나19 역시 면역 기능이 약하고 흡연 등의 생활패턴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고령의 남성에게 취약한 면을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랜싯은 감염병에 ... ...
- 남성·노인·기저질환자가 코로나19에 특히 취약한 이유동아사이언스 l2020.02.25
- 13% 정도만 숨졌다"며 "바이러스가 들러붙는 수용체(ACE2) 유전자가 X염색체 상에 있어, X염색체가 하나뿐인 남성이 두 개 가진 여성에 비해 훨씬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역시 인간 세포에 침입할 때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동일한 ACE2 수용체를 이용하므로 같은 이유일 것이라는 ... ...
- 中 연구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50대 이상 남성 감염 확률 높아"동아사이언스 l2020.01.31
- 감염에 여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은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X염색체와 성호르몬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환자 중 절반인 50명이 만성 질환을 앓고 있었다.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병력을 가진 환자가 전체 환자 중 40%로 가장 많았고 소화기 질환 11%, 당뇨병을 비롯한 ... ...
- 아산의학상에 이원재·이재원 교수…젊은의학상에·주영석·이용호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01.21
- 돌연변이가 생기는 원리를 밝혀냈다. 그는 특히 일부 폐암은 흡연과 무관하게 폐 세포 내 염색체가 파괴되면서 발생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학계에서 그의 연구성과는 암을 진단, 치료, 예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고 인정받고 있다. 이용호 교수는 근육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과 ... ...
- 재발·호전 거듭하는 '다발골수종'…4년새 환자 39%↑연합뉴스 l2020.01.17
- 에서 고위험군(17번 염색체의 짧은 부분 결실, 4번과 14번 염색체 자리 바뀜, 14번과 16번 염색체 자리 바뀜)이 있거나 젖산탈수소효소(LDH) 농도가 높아져 있는 경우다. 2기는 1기나 3기에 속하지 않는 그룹이다. 골수검사에서 확인한 악성 형질세포의 현미경 소견. 다량의 면역글로불린이 세포질에 ... ...
- [프리미엄 리포트]"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과학동아 l2020.01.11
-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몸의 크기를 측정해 암컷과 수컷을 구분하거나, 유전자 분석으로 성염색체(암컷은 ZW, 수컷은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목격한다면 위에 있는 개체가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Aire)와 아연 집게 전사 인자(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 Fezf2)을 발현한다. AIRE는 21번 염색체 긴 팔에 위치(21q22.3)한 유전자가 지시하는데, 체내의 건강하고 정상적인 단백질을 다시 T 세포에 노출시킨다. 이에 반응하는 세포는 파괴하거나 조절 T세포로 분화시킨다. 만약 AIRE가 제구실을 못하면 자기 ...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01.01
- Slc24a3는 칼슘, 포타슘 이온과 소듐 이온을 교환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인데, 2번 염색체에 들어있습니다. 이 유전자를 없앴더니 제 동생의 팔다리 힘이 엄청 세졌답니다. 지난번에는 눈코입과 손가락, 발가락 등 신체검사도 했습니다. 혈액을 뽑아서 혈압과 당뇨 여부도 확인했고요. 장기에 이상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