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출
변동
가변
연접동
동양 혈관
흐름
유통
뉴스
"
유동
"(으)로 총 20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 연 평균 소득 ‘7613만 원’
2014.09.2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공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의 2012년 연평균 소득이 7613만 원으로 조사됐다. 전년보다 276만 원 오른 ... 이직 의향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대학이나 연구소에 치우쳐 불균형적인 인력
유동
성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인 신호로 보인다”고 밝혔다. ... ...
“싱크홀 탐사 레이더와 로봇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2014.09.24
“지반 변화와 지하수 변동을 관측하는 모니터링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지하수
유동
과 지반침하를 통합해 예측하는 기술도 중요하다”며 싱크홀 예측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포럼에서는 현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이 지하공간 개발 관련 정책도 소개할 예정이다.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연구팀은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이 개체 크기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 서울대학교 ... 못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열 교환이나 물질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미세
유동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 ...
탄저균 공격, "이것"만 있으면 무용지물
과학동아
l
2014.03.17
‘인공 지질 이중막’ 위를 움직이게 했다. 이중막은 지질 성분이 이중으로 쌓여
유동
적이기 때문에 복합체들이 좌우로만 움직여 현미경으로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전자들이 산란하는 빛을 관찰하는 ‘암시야 현미경’을 이용해 인공 지질 이중막 위를 관찰했다. 그 결과 ... ...
[단독]정부연구기관, 논문도 특허도 대학에 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박사 후 연구원처럼 새로운 피를 수혈하고 기업과 연구 인력을 공유하는 등 인력을
유동
적으로 운용하는 정책이 출연연의 문제를 푸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공계 홀대하는 한국]美서 박사 받은 고급두뇌, 절반이상 눌러앉아
동아일보
l
2014.01.08
비해 한참 떨어지기 때문이다. 미국과학재단(NSF)이 2008년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국제
유동
성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에서 과학기술보건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한국인 가운데 절반 이상(54%)이 미국에 남아 있고 44%만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2006년부터 3년마다 조사하는 ... ...
빗물로 인한 하천 오염방지가 지난해 최고의 건설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종합 프로그램이다. 연구팀은 미국 지질 조사소에서 개발한 3차원 지하수
유동
모형 ‘MODFLOW’와 도심지 배수관망 모형인 ‘SWMM’을 결합, 예측 정확성을 끌어올려 미국으로 역수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김남원 박사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가 세계적 관심사인 만큼 물의 ... ...
요술인가, 마법인가…최첨단 프린팅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했다. 젤라틴의
유동
성을 유지하면서 자외선을 처리한 결과 프린팅 과정에서 젤라틴의 강도와 부푸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실제 인공신체 기관과 비슷하게 만들 수 있었던 것. 국내에서는 금속 잉크를 이용한 프린팅 연구도 ... ...
위파보다 더 센 초강력 태풍 프란시스코 북상…진로는?
동아닷컴
l
2013.10.18
프란시스코가 북서쪽으로 움직이고 있어 한반도를 빗겨갈 것으로 예상지만 태풍 위치가
유동
적이므로 기상 정보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화제의 뉴스] - 초속 30m ‘헬기 장풍’ 날리자 中어선 철판 와르르 - 김정은 “내가 청와대에 공화국 깃발 꽂겠다 - 왼손엔 스마트폰…오른손엔? ... ...
걷기만 해도 가로등이 켜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도로에 대면적 하베스터를 설치한 뒤 자동차가 밟고 지나갈 때마다 에너지를 모으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특정 패널을 설치해 사람들이 밟고 지나갈 때 생기는 전기로 가로등을 밝히는 식이다.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김상우 교수는 18일 오후 6시 30분에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에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