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위조방지첨가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량 생산하는데도 성공했다. 고분자 재료를
유체
에 흘리고 빛을 순간적으로 노출해 합성하는 방식을 자동화한 프로그램인데 반복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 미세입자는 가로세로로 4개씩 총 16개의 격자를 가졌다. 격자당 4개 색상을 낼 수 있어 ... ...
지문은 손가락 마찰력을 유지하는 수분 조절 통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달라지는지도 확인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지문이 손가락의 수분을 조절하는 미세
유체
역학 통로 역할을 하며, 지문 덕분에 손가락의 수분 함량에 상관없이 손가락과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늘 최대로 유지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손가락 끝이 건조하면 땀이 분비되면서 마찰이 ... ...
차내 코로나19 전파 막으려면 어떤 창문 열어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물리학과 조교수 공동 연구팀은 공기나 물 같은
유체
의 흐름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전산
유체
역학(CFD)을 이용해 자동차 내외부의 공기 흐름을 시뮬레이션했다. 차는 일본 자동차 회사 도요타가 만든 ‘프리우스’를 모델로 했고 운전자 외에 승객 1명이 운전자 반대편 뒷좌석에 앉았다고 가정했다. ... ...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
과학동아
l
2020.12.01
이언 쿠진 막스플랑크 동물행동연구소 소장은 “물고기가 이웃과 헤엄 방식을 맞춰
유체
의 흐름을 활용한다는 것은 로봇 실험 전에는 결코 알 수 없었던 결과”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467-020-19086- ... ...
수능 가림막 높을수록 바이러스 차단 효과 크지만…어디까지나 '방역 보조수단'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가림막이 에어로졸 전달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고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
유체
물리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공기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가림막이 공기 흐름이 책상 위로 흐르는 것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로졸 전파는 막지 못하지만 대신 에어로졸이 타고 ... ...
산업 현장 온실가스 배출량 정확히 산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이뤄지지 않았다. 강웅 KRISS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내 발전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체
속도 측정 장치인 S형 피토관을 이용해 굴뚝 내부에서 온실가스의 유속분포를 측정했다. 그리고 발전소의 굴뚝원격감시체계에서 얻은 실측 데이터와 국제표준화기구가 불확도 계산에 필요한 변수를 넣어 만든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수학과 교수(겸 고등과학원 수학부 비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
유체
역학 등 물리학에서 비롯되는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엄밀한 수학적 이해를 연구하고 있다. sjoh@math.berkeley.edu Intro. 질문으로 보는 2020 노벨과학상 PART 1 트렌드│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 ...
앞뒤 다른 '두 얼굴'의 투명유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만들 수 있어 제작 단가를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가스나 용액과 같은
유체
가 금속층 사이로 스며들 수 있게 해 가운데 유전체가 외부 환경에 반응하도록 했다. 환경에 따라 색이나 모양 같은 정보를 나타내거나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외부 가스나 액체, 온도 등에 따른 색 ... ...
'코로나19 감염자와 거리 2배면 위험은 절반'…외계생명체 찾는 방정식으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분석한 결과 감염자와의 거리가 2배가 되면 감염 위험은 절반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유체
역학 관련 학술지 ‘피직스 오브 플루이즈’ 10월호에 발표했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1961년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1961년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외계생명체 수를 계산하기 위해 만들었다. ... ...
물고기 떼지어 춤추듯 움직일 때 에너지 소모 줄어
연합뉴스
l
2020.10.27
확인된 소용돌이 단계적 일치가 실제 물고기에서도 활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유체
역학 모델을 만들어 금붕어의 유영 자세를 분석한 결과, 자연 상태에서도 이용되는 것을 확인했다. 쿠진 박사는 "주변과 (꼬리지느러미 움직임을) 일치시킴으로써 집단적으로 만든 소용돌이를 지속적으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