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장
국민장
뉴스
"
인산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이로써 분자 수준에서 생명을 탐구하는 첨단생명과학이 시작됐다. DNA에는 음전하를 띤
인산
염이 주기적으로 배열돼 있어서, DNA가 길수록 음전하의 양도 많아진다. 덕분에 전기장 내에서 DNA는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달라지고, 이 성질을 이용해 유전자를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이 친자 확인을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DNA중합효소가 이 약물(삼
인산
형태)을 뉴클레오티드(이 경우 데옥시구아노신삼
인산
)로 착각해 갖다 쓰면서 게놈복제가 엉망이 된다. 비유하자면 집을 지으면서 속이 빈 벽돌을 갖다 쓰는 셈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아주 나쁜 녀석은 아니다. 경찰을 피해 몸을 숨기는 ... ...
당뇨 치료 신약 개발할 새로운 단초 발견
2014.11.03
효과가 있어 현재 당뇨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기능 때문에 PPARγ의 변형(
인산
화)이나 무력화는 당뇨병이 생기는 주요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어떤 요인이 이 전사인자를 무력화시키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쓰랩3(Thrap3)’이라는 단백질이 PPARγ에 결합해 변형시키며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건너 간 코리 부부는 워싱턴대 의대에서 포도당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분자인 포도당 1-
인산
을 발견했다. 그 뒤 두 사람은 체내에서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이때 개입하는 인슐린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계속했다.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은 여생동안 무척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을 얇게 썰고 강한 X선을 쪼여 이온의 변화를 분석했다. 양전극은 수십억 개의 리튬이온
인산
염 나노입자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변화를 쉽게 관측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속도와 상관 없이 양전극 속 나노입자 가운데 5~8% 정도만 이온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극 속 ... ...
흉터도 만들고 암도 전이시키는 이것은?
2014.08.31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이 효소가 세포 밖에서 특정 아미노산을
인산
화 시킨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또 연구팀은 효소가 이 작용을 통해 세포를 둘러싼 그물구조(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의 형성을 조절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효소가 세포외기질을 많이 ... ...
일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소수성 부분에 결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결과 단백질의 소수성 부분이 PG 분자의
인산
부분(친수성)으로 바뀌고, 이로 인해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일어난다. 사이언스 제공 길 양 옆으로 수북이 쌓여있는 다양한 색깔의 컨테이너 박스들이 마치 레고 블록을 연상시킨다. 이번 주 ... ...
세포의 생사 가르는 활성산소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08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는 ‘분자 스위치’를 발견했다. 그 스위치는
인산
화효소인 ‘MKL3’로 활성산소의 농도가 낮을 때는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ERK’ 단백질을 활성화하지만 활성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염색체 1번에 존재하는 SNP 마커들의 경우 세포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리보솜 단백질 'S6
인산
화효소(RSK)' 유전자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2번에 포함된 마커들은 유전자 발현 조절 기능을 갖고 있는 '엘라브 계열 2(CELF2)'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두 개의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체내에서 서서히 용해되는 특성을 이용했다. 전극 사이에 들어가는 배터리액은
인산
성분이 들어간 식염수를 이용해 유해성을 없앴다. 외부는 ‘폴리 무수물’이라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감쌌다. 배터리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1μm=100) 정도로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미세전류가 필요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