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거진
잡지책
간행물
저널
정기간행물
리뷰
비평
뉴스
"
잡지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원폭투하 75년 생존한 피폭자들이 남긴 의학적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6
짚는 기획 기사를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사이언스는 과학학술지이기 이전에 과학
잡지
로서 종종 기획기사로 표지를 꾸린다. ●원폭 생존자들, 참상 속에서도 방사선 역학 연구에 참여 데니스 노밀 기자는 히로시마 출신 이이다 구니히코 씨의 이야기로 기사를 시작한다.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 ...
코로나19 백신 등장 앞두고 공급 방식·가격 갈등 씨앗으로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비용을 가격을 통해 보상 받는다는 뜻이다. 앨버트 벌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초 영국
잡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만약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임상시험 승인을 내리지 않아 개발에 실패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냥 개발을 종료하는 것이다. 돈을 날리는 것뿐이다”라고 답했다. ... ...
해외유입 막자니 일손은 모자라고…이주노동자 출신국들 대부분 코로나 '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내리는 등 방역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마스크와 보호장구 부족을 겪으며 확산세를
잡지
못하고 있다. 필리핀과 파키스탄, 키르키스스탄도 비슷한 상황이다. 보호장구 부족을 겪고 있으며 열악한 의료시스템 탓에 확진자가 수 백명씩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리핀의 신규 확진자는 이날 539명, ... ...
코로나19 딜레마…지구촌 보건-경제 두고 '위험한 줄타기'
연합뉴스
l
2020.07.15
봉쇄완화를 추진했다며 주된 이유로 '경제적 압박'을 꼽았다. 문제는 초기유행을
잡지
못한 국가가 봉쇄를 풀고 경제활동을 재개하면 코로나19 확산세가 증폭된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최근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대 세계정책연구소 ... ...
[알립니다] 동아사이언스 신입·경력 기자 공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국내 대표 월간 과학
잡지
'과학동아'와 어린이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 수학
잡지
'수학동아'에서 콘텐츠를 만들고 온라인과 동아일보 신문 지면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의 최신 이슈를 독자에게 전할 열린 생각과 뜨거운 가슴을 가진 분들을 모십니다. 지원 자격은 4년제 정규대학을 ... ...
[알립니다] 동아사이언스 신입·경력 기자 공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국내 대표 월간 과학
잡지
'과학동아'와 어린이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 수학
잡지
'수학동아'에서 콘텐츠를 만들고 온라인과 동아일보 신문 지면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의 최신 이슈를 독자에게 전할 열린 생각과 뜨거운 가슴을 가진 분들을 모십니다. 지원 자격은 4년제 정규대학을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탑재한 발열 확인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잡지
‘스펙트럼’ 27일자에 따르면 다양한 스타트업이 얼굴 인식 기능을 탑재한 발열 확인 시스템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발열 확인의 낮은 정확도를 보완해 체온을 정확히 측정하기 ... ...
우주선 개발하던 엔지니어들은 어쩌다 인공호흡기를 개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개발을 지시했다. 산토스 설립자는 이달 20일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공학
잡지
'스펙트럼’과 인터뷰에서 “페이스북의 친구들이 차례로 가족이나 친구를 잃는 모습을 보며 큰일이 났다고 생각했다”며 “인공호흡기 개발하자는 의견이 나왔을 때 ‘복잡한 수냉식 냉각기도 만드는데 ... ...
中, 서울-도쿄 거리 위성 양자암호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등 공격에 뚫리지 않는 안전한 통신 채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6일 공학
잡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회(IEEE) 스펙트럼’에 따르면, 이번 연구 이전에 양자암호키를 안전하게 나눌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약 144km였다. 이번 연구로 한 번에 양자암호키를 분배할 수 있는 거리가 약 8배 ... ...
2주간 코로나19 위험도 더 올라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따라 대규모 확산으로의 진행은 막고 있으나, 추적속도가 확산 추이를 충분히 따라
잡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14일 종료될 예정이던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를 신규 확진 환자 발생 추이가 한 자릿수로 줄어들 때까지 무기한 연장하기로 했다. 손 반장은 “이번 조치는 방역 당국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