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663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서 3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에 출전해 종합 3위를 차지했다. KAIST는 심현철 전기및
전자
공학부 교수팀이 4월 12일 아랍에미리트(UAE) 정부 후원으로 개최된 아부다비 자율 레이싱 대회(A2RL)의 드론 챔피언십 리그(DCL)에서 세계 3위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대회는 아부다비 국립 전시 센터 마리나 ... ...
"주사 대신 알약"…꿈의 비만약 '위고비' 먹는 약으로 진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구조 생물학 기술의 진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017년 극저온
전자
현미경으로 GLP-1 수용체의 3차원(3D) 분자 구조가 밝혀지면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약물 결합 예측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실험실에서 수천 개의 화합물을 일일이 합성하지 않고도 가능성 있는 후보를 선별할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우주 위성 기업과 '클라우드 활용 전략'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 한국재료연구원(재료연)은 이상복 융·복합재료연구본부 연구원팀의 ‘다중 대역
전자
파 흡수차폐 복합소재 기술’이 2024년 ‘세계 1등 기술’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세계 1등 기술은 재료연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술 중에 내·외부 심사 평가를 거쳐 선정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2차원
전자
가스(2DEG) 층이 형성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2DEG란 두 층이 맞닿는 계면에서는
전자
가 자유롭게 빠르게 이동하는 층이다. 층의 양 끝에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에 모두 반응하는 뉴런형 소자를 연결했다. 이렇게 만든 뉴랜지스터는 독특한 구조 덕분에 게이트 전압의 극성에 따라 흥분성 ... ...
표준연, '한국형 스타링크' 성능 보장할
전자
파 측정표준 확립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 산업계와 국방 분야가 필요로 하는
전자
파 측정표준을 확립해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09/TIM.2025.3545722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마이크로소프트 연구결과는 WoS 기준 역대 인용 수 순위에서는 7위에 올랐다. 물질 내부에
전자
가 존재하는 형태와 에너지를 계산하는 밀도범함수 이론(DFT)과 관련된 1980~1990년대 논문 일부도 인용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DFT는 물리학과 계산화학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쓰이며 ... ...
'작은 가속기도 맵다'…수 센티미터로 초강력 빔 생성하는 소형 입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따르면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DESY) 연구팀은 항적장 가속으로 기존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전자
빔만큼 균일한 품질의 빔을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미래 원형 충돌기(FCC)의 대략적인 규모를 표현한 그림.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LHC 근처가 유력한 건설 장소로 제시됐다. CERN 제공 기존 ... ...
"대학-출연연 공동연구 없어도 인력교류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서식이 제공된다. 양 부처는 간담회에서 학연 협력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경북대와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학연플랫폼구축지원시범사업' 등을 통한 양 기관의 협업 현황과 계획을 발표했다. 학연 공동연구 및 공동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간담회 이후에는 디지털 ... ...
전세계 GPU 수급난…추경으로 올해 1만장 구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추경을 통해 구축할 대표적인 AI 인프라는 GPU(그래픽처리장치)다. 김정호 KAIST 전기및
전자
공학부 교수는 "국내 GPU 개수 자체가 부족해 경쟁력 있는 국내 AI 모델이 안 나오고 있다고 본다"며 "국내에 AI 연구자, 기업 등이 쓸 수 있는 GPU가 수만개는 확보돼야 한다"고 했다. 한국이 보유한 GPU는 ... ...
재료연, 독성 물질 없는 친환경 은 도금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이 책임연구원은 "은 도금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반도체 및
전자
부품 제조에 필요한 고품질 도금까지 가능하다"며 "산업 현장의 혁신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16/j.electacta.2025.14590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