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전파
뉴스
"
전파망원경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망원경
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 ※필자소개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보지 못했다.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을까. 2006년 전 세계 36개 기관 소속 천체물리학자들은
전파망원경
을 동원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4월, 마침내 그 결과가 공개된다.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것과 같은 모습일까. 빛에 대한 연구는 현대 이론물리학의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분석한 결과 FRB 121102와 분출 메커니즘이 비슷하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올해 차임
전파망원경
을 이용해 FRB를 1000개 이상 관찰할 예정이다. FRB에 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FRB가 어디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비밀을 밝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급격히 승화하며 기체가 되고, 스노우라인이 원반 바깥으로 밀려나며 넓은 영역에서
전파망원경
관측이 가능해진다. 이 교수팀은 수많은 태아 별을 관측하며 ‘때’를 기다린 끝에, 2017년 후반에 V883 Ori가 밝아지는 순간을 포착해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세계 최초로 폭발하는 태아 ... ...
"블랙홀 미스터리 풀 열쇠"…韓, 중력파검출기 '소그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두 블랙홀이 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가 퍼져나가는 모습의 상상도.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지난달 21일 서울대의 한 회의실. 30명 남짓한 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었다.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의 연례총회였다. 모두 정부 지원 없이 중력파 연구 불모지인 국내에서 자발적으로 연구에 ... ...
땅밑에서 우주 탄생 비밀 푼다…日 아시아 첫 중력파검출기 연말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중력파는 블랙홀, 중성자별이 병합되는 것처럼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파동이다. 빛의 속도로 전파되면서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든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올해는 일식 관측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검증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 ... ...
[2019 과학 전망]기해년 덮친 돼지전염병,GM 모기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사이언스 선정 올해 헤드라인 장식할 과학 뉴스 한국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지구온난화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극지 연구에 착수한다. '돼지의 해'를 맞았지만 '아프리카 돼지열병'이라는 재앙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나왔다. 국제프로젝트‘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은 전 ... ...
“우주에서 떨어지는 ‘초고에너지 우주선’ 기원은 거대질량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많은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발견됐다. -사진제공 UNIST 김 연구원팀은 미국 유타주에서
전파망원경
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미국과 일본, 러시아, 한국 등의 천문 관측 프로젝트인 ‘텔레스코프 어레이’를 통해 2008년 5월부터 2013년 5월까지 5년간 하늘을 관측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다. 이 기간에 ... ...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
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최대 구면
전파망원경
본격 가동 지름 500m에 축구장 3개 면적의 세계에서 가장 큰 구면
전파망원경
(FAST)인 중국의 ‘톈옌(天眼)’이 내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12억 위안을 들여 건설한 이 망원경은 2016년부터 시범 운영을 통해 50여 개의 새로운 펄사(자전하는 죽은 별)를 관측해 왔다.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감마선 별자리. NASA 제공 사람들은 문명이 시작되기도 전인 까마득한 옛날부터 밤하늘을 관찰했다. 밤하늘에 가득한 별 중 가까운 것을 이은 다음 그 형태에 따라 떠오르는 물건이나 동물의 이름을 붙이곤 한 것이다. 이처럼 별들을 연결한 하늘의 구역을 ‘별자리’라고 한다. 그런데 왜 옛사람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