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상
이상
파격
변칙
변태
별남
괴팍함
스페셜
"
비정상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HeLa 세포가 어떻게 영생을 얻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다만 텔로머레이즈라는 효소가
비정상
적으로 활성화되어 텔로미어가 줄어들지 않아 지속적인 생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텔로미어(telomere)는 그리스어로 끝을 뜻하는 텔로스(telos)와 부분을 뜻하는 메로스(meros)에서 유래한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KISTI
l
2014.05.26
5월 초 미국정신과협회(APA)의 연례 대회에서는 인터넷 중독 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은 뇌에
비정상
적인 특징이 나타났다는 발표가 있었다. 한두 건의 실험이 아닌 최근의 연구 13건을 종합한 결과다. 인터넷 중독 장애는 부정적인 정신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연구가 지적하는 부작용만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이 있다. 바로 X염색체가 하나뿐인 여성이 보이는
비정상
적인 상태다. X염색체불활성화에 따르면 어차피 X염색체 하나면 충분하므로 X염색체가 하나뿐이라도 정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런 수정란은 대부분 발생과정에서 죽고 드물게 생존해 태어나도 발육부진, ... ...
미스터리 불빛과 지진 예지
KISTI
l
2014.03.04
마찬가지로 농도 증가를 반드시 지진 발생과 연관 지어서 설명할 수 없다. 또한, 동물의
비정상
행동의 원인을 지진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원인과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지진 예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는 것은 지진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한다. 자폐성 질환이나 정신지체도 시냅스 가지치기에 문제가 있거나 시냅스 형태가
비정상
적인 결과라고 한다. 후튼로처는 뇌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을 치료하고 돌보는데 헌신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역시 말년엔 신경질환인 파킨슨병으로 오랫동안 고생하다 죽음을 맞았다. 13. 데이비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수행했는데, 1980년대 초 남극 핼리만(Halley bay) 상공 성층권에서 측정한 오존수치가
비정상
적으로 낮다는 걸 발견했다. 파먼과 동료들은 측정오차를 비롯한 모든 가능성을 조사하며 반복해서 데이터를 얻었지만 결과는 같았다. 결국 파먼은 프레온의 분해산물이 오존층을 파괴했다는 주장을 담은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플로렌스 섬에 살고 있는 피그미족인 람파사사의 조상으로 ‘이상소두증’이라는, 뇌가
비정상
적으로 작은 질환에 걸린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두개골 전문가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딘 폴크 교수 등 여러 전문가들이 재반박하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한편 호빗의 손목뼈나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잘못된 유전자를 정상으로 바로잡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상
유전자 대신 기능을 할 수 있는 정상 유전자를 치료에 이용하려는 연구는 중증복합면역결핍증에 걸린 여아를 상대로 1990년에 처음 시행되었다. 유전자를 받아들여야 하는 세포와 조직의 종류, 인체 외부에서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불과 세 문단, 300단어 분량이었다. 그 뒤 관련 연구자들이 대학의 이름을 빌려 이
비정상
염색체를 ‘필라델피아 염색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960년은 DNA이중나선이 발견되고 7년이 지난 시점이었지만 염색체 연구는 시작단계였다. 사람의 염색체가 46개(23쌍)로 이뤄져 있다는 게 확증된 게 195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별 효과가 없어서 포기한 약물인 로나파닙의 작동 메커니즘이 조로증을 유발하는
비정상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임상을 시작했다. 2007년 당시 공식 등록 환자의 75%인 25명에 대해 2년에 걸쳐 투약한 결과 심혈관계와 근골격계의 노화를 늦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물론 ... ...
이전
15
16
17
18
1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