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스페셜
"
탄생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우주에 어떤 형태의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우주의
탄생
과 진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한편 20세기의 말에는 19세기말의 풍경과는 또 다른 결에서 일종의 완결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다. 그 기대감은 최종이론, 또는 궁극이론이라는 이름으로 세기말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거의 일정한 궤도를 돌고 있는데 탄소를 포함한 소행성은 ‘타임캡슐’과 같아서 태양계
탄생
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호에 실린 3개의 연구는 오시리스-렉스가 보내온 데이터를 이용해 베누 표면과 성분을 분석했다. 회색, 자주색, 푸른색의 3개 영역은 각 연구의 결과를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국제 파트너와 함께 2024년 달 유인 탐사 성공시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 영국 등 7개국이 서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NASA를 중심으로 전 세계 달 탐사 연합체가
탄생
한 셈이다. 10월 27일에는 유럽우주국(ESA)도 합류를 선언했다. 리사시치 본부장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비행사가 달에 발을 내디디면 새로운 우주 탐사 시대가 시작될 것”이라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방법론을 통해 구현되는 ‘과학적 사회’를 추구한다. 코로나 사태는 비록 서구에서
탄생
했지만, 삶과 사회의 상식을 지키는데 실패해버린 서구과학의 한계를 드러낸 역사적 전환점이기도 하다. 그리고 과학을 뒤늦게 받아들였지만, 과학이 전해주는 최소한의 상식을 사회와 개개인의 삶이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올린 공대와 미네르바 학교의 문제 중심의 학습 방법을 고려할 만하다. 19세기 대학의 재
탄생
을 이끈 훔볼트는 새로운 대학이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 아니라 지식을 생산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21세기 4차 산업혁명 속의 미래 대학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가득 들어찬 게놈 코드를 표지에 실었다. 아프리카는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탄생
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요람이다. 하지만 가장 먼저 인간이 살며 가장 다양한 유전자를 가졌을 아프리카인의 유전적 다양성은 정작 제대로 조사된 적이 없었다. 아데보왈레 아데예모 미국국립보건원(NIH) ... ...
138억년 전 별도 행성도 없던 우주에서 들려온 기괴한 소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우주선이 포착한 신호는 빅뱅과 함께 우주에서 물리량의 가장 기본 단위인 '양자'가
탄생
하면서 만들어 낸 신호다. 실제 신호는 가청 주파수보다도 47옥타브 낮았다. ESA는 이를 50옥타브 올려 들을 수 있는 소리로 변환했다. 블랙홀의 소리도 담겼다. NASA의 찬드라 X선 천문대가 우리 은하 중심에 ... ...
[과학자의 서재] "책은 복잡계를 가르쳐 주는 진짜 선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놓은 것일 뿐 아니라 과학에 대한 영감을 제공한다고 한다. 김 연구원은 “인상파가
탄생
한 배경은 기차가 발전하며 빠르게 지나가는 풍경을 보게 되면서라고 한다”며 “예술의 생각과 과학의 생각이 항상 붙어있지 않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were drawn. Science, 2.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994 -김우재, ‘부자 과학자의
탄생
’, 한겨레21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45899.html -노벨과학상의 비합리성에 관해선 다음 글들을 참고할 것. 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17/10/the-absurdity-of-the-nobel-prizes-in-science/541863/ The Absurdity of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이웃 별이 있어서 강력한 자외선을 쪼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카리나 성운의 별
탄생
영역인 NGC 3324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이다. 태어난 무거운 별들이 강한 자외선 빛을 비추면서 분자구름을 깎아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분자구름의 산소동위원소 분포를 변화시킨다. 흰 가로선 축척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