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문"(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승정원일기’ 번역할까과학동아 l201703
- ‘신경망 기계번역(NMT)’으로 최근 구글과 네이버가 도입한 기술이다. 단어나 구문이 아닌 문장을 통째로 번역해 자연스러운 번역이 가능하다. 인공지능을 완성하면 아직까지 번역되지 않는 한문 고전을 초벌 번역하는 용도로 활용할 예정이다. 첫 번역물은 ‘승정원일기’가 될 전망이다. 1623년 ... ...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수학동아 l201702
- 파악해야 한다. 반면 예전의 구글 번역은 문장을 구 단위로 쪼개 해석했다. 이를 ‘구문기반 통계번역’이라 부른다.한국어 문장을 영어로 바꾼다고 하자. 먼저 명사구, 부사구, 동사구로 쪼갠 뒤 번역 후보를 줄 세우고 확률을 계산한다. 쌓인 번역 데이터로 통계를 낸 결과 10번 중 8번은 첫번째 구를 ...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01
- 것이 5번이라면, apple로 번역될 확률은 3분의 2다. 즉, 문장을 입력하면 각각의 단어, 혹은 구문을 기준으로, 번역될 수 있는 단어들을 나열하고 그 중 확률이 가장 높은 단어를 선택해 문장을 완성하는 방식이다.이번에 출시한 구글 번역기는 ‘신경망 기계번역(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을 활용한다. ...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06
- 게 검증됐어요. 보통 비밀번호를 깨기 위해 사전에 있는 단어를 이용하는데 자기만 아는 구문의 단어 앞글자로 만든 단어는 세상에 없는 단어지요. 규칙도 없어 보이니 무작위로 만든 암호로 볼 수 있습니다.학교 다닐 때, 공부 외에 관심 분야가 있었나요?제가 대학을 다닐 때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03
- ‘Home’이라고 정답을 맞혔다(자판에 Home’키가 있고, ‘Home is where the heart is’라는 구문이 있다).인간 출연자가 쉽게 맞춘 것을 왓슨이 틀리기도 했다. ‘미국 도시’라는 제시어를 주고 “이 도시의 가장 큰 공항은 2차 세계 대전의 영웅 이름을 땄고, 두 번째로 큰 공항은 2차 세계 대전의 전투 ...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07
- 들어 있는 제약 조건과 찾아야 하는 답의 유형을 파악한다. 단어와 단어, 단어와 구문, 구문과 문장의 관계를 파악하는 게 핵심이다. 그 뒤, 미리 구축해 둔 데이터베이스에서 알맞은 답을 찾아낸다. 여기에는 연역적, 귀납적 두 가지 방법이 이용된다.“‘남산의 높이는 얼마인가요?’라는 질문에는 ... ...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4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고대 로마는 번성한 문명의 중심지였어요. 그런 로마 사람들이 휴가지로 선택한 곳은 얼마나 멋진 곳일까요? 화산재에 통째로 묻힌 도시, 폼페이를 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을지도 몰라요. 어린이과학동아 이현근, 정수민 기자가 생생한 폼페이의 모습을 찾아 ... ...
-
- 어메이징 모기맨어린이과학동아 l201214
- 그럼 어떻게 하냐고요? 친환경 살충제를 쓰면 돼요. 라벤더나 난타나, 야래향, 클로에, 구문초 같은 식물을 키우면 집 안에 모기가 사라진다고 해요. 특히 어독초나 은행잎은 구하기도 쉽고 효과가 뛰어난 식물이라고 하네요. 집 안 구석에 놓으면 모기뿐만 아니라 바퀴벌레 등 다른 해충들도 모두 ... ...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02
- 사람이 쓰는 단어는 음이 같지만 여러 가지 뜻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다. 컴퓨터는 구문분석 결과를 가지고 의미분석을 한다. 의미사전의 정보를 바탕으로 의미가 맞지 않는 것을 지워가며 하나의 분석결과를 내놓는다. 이로써 컴퓨터는 질문을 모두 이해한 셈이다.질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기 ... ...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과학동아 l200910
- ‘파리’라는 답을 내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구문 분석이라고 부른다. 형태소 분석보다 한 차원 진보된 것이며, 현재 시범 서비스가 진행 중이다. 인터넷 세상에서 한글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이들의 다음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이정호 기자 sunrise@donga.com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