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관
환관
고자
화자
nash
d라이브러리
"
내시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
내시
경
과학동아
l
201706
“현재 암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는 일주일가량이 걸립니다. 수술을 할 때는 재발을 막기 위해 넓은 면적의 조직을 절제합니다. 의사의 ... 실험할 계획이다. 문 교수는 “연구 성과가 모이면 기업과 연계해 다중 모달 융합
내시
경기술로 의료시장을 새로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
수학동아
l
201705
업적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존
내시
도 브라우어르의 고정점 정리의 가치를 알았다.
내시
는 게임에 균형점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브라우어르의 고정점 정리를 활용했다.기하학에 날개를 달다도넛과 물컵부터 털 난 공의 정리까지, 위상수학의 연구 주제는 도형과 관련된 것이 많다.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
수학동아
l
201608
느꼈다면 고민남을 지목하겠죠. 그때 비로소 최악의 상황을 벗어나 커플이 되는 최선의
내시
균형이 됩니다. 잊지 마세요! 커플이 되는 게 목적이라면 진정한 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걸 말이죠.지금까지 게임이론으로 여러분의 고민을 풀어봤습니다. 좋은 해결책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05
또 다른 아버지로 불리는 존 매카시도 수학자입니다. 그는 노벨상을 받은 수학자 존
내시
와 함께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수학 박사 과정을 밟았거든요. 1958년에는 수학을 토대로 인공지능의 기본 언어인 LISP라는 컴퓨터 언어를 개발했습니다.또 다른 근거로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딥러닝’을 들 수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
수학동아
l
201604
5월에는 게임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수학자 존
내시
가 자동차 교통사고로 별세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달에 게임이론에 초석을 놓았던 또 하나의 큰 별이 졌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3월 1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 로이드 섀플리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02
제가 죄수의 저주에 걸린
내시
아저씨를 구해드리고 왔거든요!”“네가 저주에 걸린
내시
를 구했다고? 이곳에 갇힌 수학자를 구한 사람이 있다니! 갑자기 희망이 생기는구나. 그럼 어서 빨리 나도 좀 구해줘!”“제가 문제를 풀 수 있게 조금만 도와줘요! 프랙탈을 어쩌다 연구하게 됐죠?”잠시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
수학동아
l
201601
“여기가 어디지?”단이 눈을 떠보니 낯선 곳이다.“으으, 여기가 어디지? 저건 뭐지?”정신을 차리고 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봤다. 눈앞에는 형용할 수 없는 강 ... 죄수들은 단을 조롱하듯 더 요란하게 움직이고 있었다.과연 단은 정확한 정답을 맞혀
내시
를 구할 수 있을까?일러스트 :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
과학동아
l
201508
경쟁자의 대응에 따라 최선의 선택을 하면 서로가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는 ‘
내시
균형’을 수정한 개념으로, 어떤 돌연변이도 개체군에 성공적으로 침입할 수 없는 안정성을 설명한다. 이 이론을 통해 과학자들은 새로운 종의 진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수학이 생물학을 바꾼 예는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 루이스 니렌버그
수학동아
l
201505
밝혔다.2015 아벨상 시상식은 오는 5월 19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내시
교수와 니렌버그 교수는 상패와 함께 상금 600만 크로네(약 8억 4000만 원)를 나눠 받게 된다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04
상태가 바로
내시
균형이다.
내시
균형은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수학자 존
내시
가 만든 용어로, 게임 구조에서 상대방의 전략을 기초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상태를 말한다.잎과 가지의 배치도 수학적으로무작정 높아지기만 하면 경쟁에 유리한 걸까? 그랬다가는 줄기와 뿌리가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