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량"(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거든요. 그래서 시간의 기준이 될 수 없어요.결국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1967년에 좀 더 정확한 시간의 기준을 세웠어요. 세슘-133 원자를 변화시키는 *마이크로파의 진동을 기준으로 정한 거지요. 이 마이크로파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을 1초로 정의한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되는 물체를 말해요.원기에 변화가 생긴 이유는 전세계 단위를 유지하는 기관인 국제도량형국에 있는 질량표준기의 질량이 달라졌기 때문이에요. 국제질량원기는 국가질량원기와 마찬가지로 백금 90%, 이리듐 10%로 만들어진 금속 추예요. 금속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산화, 마모 등의 이유로 ... ...
- [과학뉴스] “단위 정의, 절대상수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510
- 1875년 파리에서 세계 57개국 대표가 모여 ‘미터(m)협약’을 맺은 지 140주년을 맞아, 국제도량형국을 이끌고 있는 마틴 밀턴 국장을 파리에서 만나 인터뷰 했다.과학동아에 연재기사가 나간 것처럼(‘2018 단위혁명’시리즈 6~9월호) 2018년에 7가지 단위 중 4개 단위가 새롭게 정의될 예정입니다. 어떤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07
- 도체 사이에 매 미터당 2×10-7 뉴턴(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라고 돼 있다(국제도량형총회 1948년 기준).무슨 말인지 쉽게 이해가 안 된다. 전류를 왜 이렇게 복잡하게 정의해야 하는가. 전기는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흐른다. 그렇다면 1 A는 ‘이만큼 많은 전자가 흘렀을 때 전류의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06
-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 로 만들었다. 그리고 형제인 6개의 복사본과 함께 바 로 국제도량형국(BIPM)에 있는 금고에 들어갔다. 126 년이 지난 오늘까지 kg 원기가 금고 바깥으로 나온 것 은 딱 3번이었다. 그것도 복사본 원기만 1946년, 1991 년, 그리고 2014년에 한번씩 나와 질량을 쟀다.당황스 럽게도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08
- 생각했다. 이에 등급별로 농지를 측량하게 했으며, 공정하게 세금을 거두기 위해 도량형도 정비했다.이뿐만이 아니라 스스로도 부제학 정인지에게 수학을 배우는 등 수학을 장려했다. 그리고 농지, 조세, 공납 등을 담당하는 호조에 산학이 뛰어난 사람을 뽑아 30명 이상 배치했다. 세종 25년 11월 1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12
- 조선시대 음계인 ‘십이율’의 기본음으로, ‘황종’이라고 부른다.●음의 기본이자 도량형의 기본, 황종관• 길이 황종관의 길이 9치= 기장 90알을 나란히 늘어놓은 것. 1알=1분, 10분=1치, 10치=1자, 10자=1장• 들이 1작 = 황종관에 기장 1200알을 담은 것. 1200알=1작, 10작=1홉, 10홉=1되, 10되=1말, 10말=1곡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과학동아 l201209
- 자전 속도가 1초를 책임졌다. 1967년 이후 1초의 책임자는 세슘 원자로 바뀌었다. 국제도량형총회는 1초를 ‘바닥상태의 세슘 133 원자에서 나오는 복사선이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했다. 물질의 고유진동수는 지구의 자전 속도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또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06
- 얻을 수 있었다.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묽고 극저온 상태인 기체가 원자광학과 도량형, 분광학 등에 중요하게 이용될 거라고 설명했다. 당시 MIT 대학원생으로 실험에 참여해 ‘사이언스’ 논문을 공동 집필했던 신용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2009년 한국에 돌아 온 이후에도 극저온 연구를 ...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206
- 종종 소외됐다. 위험에 대해 이해하려면 상당한 과학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죽음을 도량하는 단위, 마이크로몰트와 마이크로라이프가 대중들이 오늘날의 위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