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
해동청
바다매
d라이브러리
"
송골매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
과학동아
l
201402
주변이 조금만 이상해도 사냥을 하지 않는다. 더구나 호기로운 새도 아니다. 흔히 매(
송골매
)라고 하면 높은 하늘을 휘젓다가 먹이를 발견하면 쏜살같이 달려들어 사냥을 하는 모습을 연상한다. 하지만 참매는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사냥 모습을 보인다. 눈에 잘 띄지 않는 나뭇가지에 몸을 숨기고 ... ...
7년 만에 귀환한 우주탐사기‘ 하야부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우주탐사기 ‘하야부사’가 지구를 떠난 지 7년 만에 임무를 마치고 돌아왔어요. ‘
송골매
’라는 뜻을 가진 하야부사는 달 이외의 천체에 착륙했다가 지구로 돌아온 첫 탐사기랍니다. 하야부사는 소행성 ‘이토카와’에 착륙해 지표면의 암석 부스러기를 담아 4년 만에 귀환할 예정이었지만, 착륙 ... ...
공부하기 싫은 사람, 모여라!
수학동아
l
201012
하하하하”이 내용은 지금의 초•중•고 학생들이 태어나기 전인 1990년에 그룹 ‘
송골매
’가 부른 가요‘모여라’의 가사다. 20년 전의 노래치곤 신나는 비트에 가사 또한 파격적이다. 흥미롭게도 가사 내용은 기준에 맞는 것의 모임이라는 집합의 의미를 콕 짚어준다. 물론 가사에 나온 기준이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07
있어서 머리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 있는 목표물을 볼수 있는 각도가 40˚이기 때문이다.
송골매
는 등각 나선을 따라 날아야 최고 속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먹이를 따라갈 수 있다. ◎미션◎ 생활 속에서 다양한 나선을 찾아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예문 달팽이는 나선 모양의 집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06
, 줄기를 꺾으면 액이 나오는 덩굴성 식물인 ‘박주가리’(신혜우) 등이 돋보인다.“
송골매
어린새는 털갈이를 시작해 2년생 성조로 커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랍니다. 여기 회색 털이 성조의 특징이거든요. 또 박주가리에는 뿌리가 시들어가는 모습부터 줄기에서 액이 나오는 것까지 표현하고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09
지적도 있다고 한다. 전투에서 가장 앞에 서는 ‘돌격조’ 그룹이 공격성이 강한
송골매
의 문양을 새기고 다녔다는 해석이다.또 뼈의 연대가 칭기즈칸이 생존했던 시대로 밝혀졌다 해도 과연 칭기즈칸의 직계 가족이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에 대한 해법은 유전자 검사. 엄 교수는 “핵 속의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시속 400km에 달하는 빠른 속도로 사냥을 하는 매가 대표적이랍니다. 우리가 흔히
송골매
라고 부르는 새지요. 수리과에는 속도보다는 순발력을 이용해서 사냥을 하는 참매가 대표적인 새랍니다. 예전에는 매과와 수리과 두 종류를 다 사냥에 이용했지만 현재는 환경 변화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도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12
휘파람새 소리를 들려줬더니 역시 바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휘파람새의 최대 천적인
송골매
의 소리를 녹음해 틀어놓으면 어느 지역의 휘파람새건 하나같이 모두 이를 듣고 숲속으로 숨어버린다.중부지방 휘파람새의 소리는 남부지방 휘파람새에게는 사투리다. 하지만 실험결과에서 나타났듯이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03
바다 위에서 상승기류를 이용해 장시간 떠있는다.반면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는
송골매
나 점보 비행기처럼 짧고 넓은 날개를 가졌다. 이런 날개는 오랜 기간 활공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하늘 높이 떠있기 위해서 날갯짓이 많이 필요했을 것이다.익룡은 땅 위에서 어떻게 생활했을까.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08
낳은 알들은 껍질이 부드러워 쉽게 깨졌기 때문이었다. 결국 부화율이 현저하게 떨어진
송골매
는 사라지고 말았다.사람의 몸에도 먹이사슬을 통해 건너온 DDT와 같은 화학물질이 쌓였다.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인간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나이를 먹어 죽을 때까지 화학물질의 속박에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