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타크"(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09
- 신기한 돔이에요. 3. 증강현실로 즐기는 기하학!영화 ‘아이언맨’에서 주인공 토니 스타크가 멋진 최첨단 슈트를 입으면 그의 눈앞에 갖가지 정보가 펼쳐지죠? 몸 상태는 물론, 적이 가진 무기, 위험 요소, 주변 상황 등을 가상의 스크린을 통해 보여줘요. 이런 증강현실을 이용해 수학을 체험할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08
- 나직한 한 마디…, ‘그게 뭐죠?’일론 머스크는 영화 ‘아이언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의 실제 모델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독학하고, 12살 때 게임을 개발한 천재다. ‘알파고’의 아버지로 유명한 데미스 허사비스는 인공지능 연구자이자 컴퓨터 설계자다. 2010년 스타트업 ‘딥 마인드’ 설립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06
- 있다니, 만일 파충류로 '어벤져스' 영화를 찍는다면 섭외 1순위겠다. 다만 생김새는 토니 스타크랑은 좀 거리가 멀어 보인다. 아이언맨첨단 갑옷을 입은 장수거북천적을 만난 거북은 갑피의 앞과 뒤에 뚫려있는 구멍으로 머리와 다리, 그리고 꼬리를 집어넣어 몸을 숨긴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손이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08
- 10편이다. 2008년 대망의 첫 영화는 이었다. 억만장자이자 천재발명가인 토니 스타크가 지구를 위기에서 구하는 내용을 담은 이 영화로 아이언맨은 세계적인 슈퍼히어로로 인기를 얻었다.그 인기가 식기도 전인 아이언맨 개봉 두 달 후, 마블은 두 번째 영화 를 선보였다. ... ...
- 김주황의 악당예찬2 -바이오닉 암보다 접합부가 문제 윈터솔져과학동아 l201405
- 질기다는 거미줄이 바이오닉 암을 단단하게 고정해 줄 것 같다. 공돌이인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도 한 기술 보태면 어떨까. 움직이는 갑옷을 만든 만큼 바이오닉 암을 보완하는 정도는 껌이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슈퍼 악당 테크놀로지] INTRO 매력적인 악당이 대세김주황의 악당예찬1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05
- 다친 부위가 순식간에 아물고, 잘린 부분도 순식간에 재생된다. 오죽하면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가 “심장도 한 번 재생시켜 보시지”라고 이를 갈았을까.잘려나간 신체가 빠른 속도로 재생되는 것을 보고 있 노라면 특별하게 개조된 세포여야 할 것 같다. 실제로 영화에서도 ‘텔로머라아제 조절에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조범동 VM 대표)과학동아 l201311
- 민간 우주항공기업인 스페이스X를 설립한 인물이다. 영화 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의 모델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조 대표처럼 탈것을 만드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쯤 되면 조 대표의 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기술적인 혁신을 바탕으로 오랜 관심분야였던 탈것을 만들어 보급하는 ...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08
- 날아간 것이었지! 누구냐고? 바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를 만드는 천재 발명가 토니 스타크, 아니 아이언맨이야.토니는 동굴 속에서 자신이 직접 입을 아이언맨 수트를 만들었단다. 아이언맨은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구하고, 나쁜 짓을 저지르는 악당을 저지하면서 세상을 구했어. 그런데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06
- 텅스텐도 3400℃ 정도다. 견딜 수는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텅스텐으로 슈트를 만들면 토니 스타크는 제자리에 서지도 못할 가능성이 크다. 텅스텐은 스웨덴어로 ‘무거운 돌’이라는 뜻이다. 온 몸의 넓이를 2m2, 슈트의 두께를 1cm라고 가정하면 텅스텐 슈트는 385kg이다. 각종 추진체와 무기를 다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05
- 유전자를 재생하는 바이러스인 ‘익스트리미스’를 몸에 주사한다. 그 결과 수트와 토니 스타크의 중추 신경계가 연결돼, 수트를 자유자재로 원격 조종하게 된다.영화에서처럼 바이러스를 통해 유전자를 재생하고 인간과 기계를 연결해 원격조종하는 일이 현실에서도 가능할까?바이러스를 통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