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림
유학생
유학자
사림
유자
유충
d라이브러리
"
유생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조류를 먹고 살아요. 건강에 나쁜 조류들을 먹어 치워 해초의 건강을 지켜 주지요.●
유생
: 동물이 태어나서 완전한 성체가 되기 전 단계.연구팀의 관찰 결과, 해초의 청소부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해초의 꽃가루도 나른다는 게 밝혀졌지요.한편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연구팀은 뉴질랜드 섬에 사는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5
넘는 알을 담기 위해선 알의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하고, 당연히 알에서 갓 깨어난 새우의
유생
도 매우 작지요. 0.3mm에 불과한 이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물살에 따라 흔들리면서 주변에 있는 자신보다 더 작은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것뿐이에요.알을 낳는 동물만 플랑크톤 단계를 거칠까요? 식물에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07
강도래목의 어린 시절은 따로 나이아드(naiad)로 부른다. 혹은 절지동물의 어린 시절을
유생
(juvenile)이라는 이름으로 애벌레 만큼이나 일반적인 단어로 사용한 적도 있다. 그러나 어원을 살펴보면 모두 날개가 없어 짝을 찾아 비행을 못하고 생식 능력이 없는 아직 ‘애’인 어린 시절을 뜻하고,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산호는 일정한 때가 되면 알을 내뿜어서 증식을 해요. 이 곳에서 돋보기로 산호의
유생
을 관찰할 수 있어요.고래상어츄라우미 수족관의 대표선수, 고래상어예요. 다 자라면 몸길이가 12m나 되는 세상에서 가장 큰 물고기지요. 하지만 국제자연보호연맹이 취약종으로 분류할 정도로 이제 얼마 남아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10
나타낸 것을 생존 곡선이라고 한다. 생존 곡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① 굴형 :
유생
때의 사망률이 극히 높아서 소수만이 살아남은 것으로 어미가 새끼를 보호하지 않는 경우이다. 굴, 어류 등이 있다. ② 히드라형 : 각 연령의 여러 단계에서 고르게 죽는 경우이다. 히드라, 야생 조류가 이에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07
깊은 바다 속에서 부화한 뱀장어는 어미와 전혀 다른 생김새를 하고 있다. 뱀장어의
유생
은 무색투명한 모습인데 대나뭇잎처럼 납작하게 생겼다고 해서 댓닢 뱀장어라고 부른다. 이는 깊은 바다에서 해류를 따라 어미의 고향까지 쉽게 이동하기 위해 진화한 모양이다.오랜 여행 끝에 강 하구에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암컷의 몸속에서 수정된 알은 다시 몸 밖으로 배출돼 배딱지 안쪽에 자리를 잡고
유생
으로 발생한다. 암컷의 배딱지는 둥글고 넓적한 데다 안쪽에 수많은 돌기가 돋아 있어 알을 품기에 적합하다.그믐날 꽃게가 맛있는 이유“봄철 그믐께 잡은 꽃게가 가장 맛있다”라거나 “달이 밝을 때 잡힌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때 엽록체가 없기 때문에 먹이에서 엽록체를 얻어야 광합성을 할 수 있다.1. 엘리지아
유생
(몸길이 0.5mm)은 무색투명하다.2. 몸길이가 5mm 정도가 되면 바우체리아를 먹기 시작한다.3. 5일쯤 지나자 몸에 녹색기운이 완연하다.4. 성체는 잎맥처럼 등에 퍼져 있는 소화관 주변 세포에 포획된 엽록체 때문에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01
엔진소리가 120dB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엄청 큰 소리다. 공기방울을 맞은 무척추동물의
유생
과 같은 작은 생물이 그 충격으로 기절하면 딱총새우는 만찬을 시작한다.그동안 딱총새우는 우리나라 해군이 바닷속 잠수함을 탐지할 때 잡음을 만드는 훼방꾼이었다. 필자의 연구팀은 우리나라 연안에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소화가 빠르고 장도 짧아 먹자마자 금방 배설을 하지요. 먹이도 동물성플랑크톤과 작은
유생
등 소화가 잘 되는 것들로 먹는답니다.”먹자마자 똥을 누는 날치를 상상하는 다나카 군. 더 이상은못참겠는지 이제는 아예 데굴데굴구르며 웃는다.사건 분석 ❸ 날치의 놀라운 비행 실력 “그런데 날치는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