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장"(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08
- 상호 보완한 좋은 재료다.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지만 인장력에 약한 반면, 철근은 인장에 강하기 때문이다. 또 철근이 산성에 닿으면 부식되는데, 염기성을 띠는 콘크리트로 감싸 이를 보완할 수 있다.하지만 철근콘크리트 건물에도 한계가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콘크리트가 공기 중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09
- 버티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아치댐이다. 터널이나 다리에서 많이 쓰이는 아치구조는 인장력(당기는 힘)이나 전단력(방향은 반대이고 평행하게 미는 힘), 휨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축방향의 수축력만 작용하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다. 댐을 건설해야 하는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 아치구조를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긴 줄로 상부를 연결한 다리를 ‘현수교’라고 한답니다. 끈이 물체를 당기는 힘인 ‘인장력’으로 다리의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지요.그런데 기자들이 만든 현수교에 콜라캔을 올리자마자 바로 다리 중간이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했어요. 대체 이유가 뭐였을까요? 황 교수님은 기자들이 만든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05
- 곡선을 뜻한다. 여기서 정점을 '초점'이라고 하는데, 이 초점은 거미줄 모양의 구조에서 인장재의 모든 힘을 받는 한 점과 원리가 같다. amaizing 3 전기의 엄청난 힘을 보여 주겠어!"무슨소리! 그깟 거미 따위 한 방에 밟아 버리겠어! 먼저 뉴욕의 전기를 한순간에 끊어 암흑으로 만들어 버릴 거야. ... ...
- [career] 자연과 구조물의 조화, 고성능구조공학과학동아 l201306
- 진화할 수 있습니다. 설계기준도 개발할 수 있습니다.고성능구조공학은 강철 재료의 인장 성능과 콘크리트의 압축 성능을 최대한 이용해 도전적이며 경제적인 구조를 만들어 내는 데 쓰입니다.이를 활용하면, 혁신적인 건축설계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압력과 장력에 강한 새로운 재료는 초고층 ...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수학동아 l201303
- 몸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크게 ‘뼈’와 ‘근육’이 있다. 여기서 뼈가 텐세그리티의 인장재 역할을, 근육이 압축재 역할을 한다. 흔히 뼈가 근육을 지탱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오히려 그 반대다. 근육이 끊임없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뼈가 그 형태를 이루며 지지되고 있다. 이때 근육이 당기는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08
- 태평양판 위로 올라서며 역단층이 발생했다. 만일 두 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인장력이 작용하면 상반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정단층이 생성된다.센다이 지진해일은 태평양판 위로 유라시아판이 튕겨 오를 때 위에 있던 바닷물이 출렁거리면서 일어났다. 상승한 바닷물이 다시 수면을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04
- 태평양판 위로 올라서며 역단층이 발생했다. 만일 두 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인장력이 작용하면 상반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정단층이 생성된다(46쪽 그림 참조).일본은 하루에도 크고 작은 지진이 몇 번씩 일어나는 환태평양 조산대(지진대)에 속해있다.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지진 ...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과학동아 l201101
- 강한 금속도 마찬가지다.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는 탄소나노튜브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에 충분하다. 과학동아 2010년 12월호 ‘라이프 스타일 혁명 10대 기술 우주엘리 우주엘리베이터는 지표면의 출발지와 우주공간의 목표지점 ... ...
- 우주엘리베이터과학동아 l201012
- 생긴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 일본의 수미오 이지마 박사가 발견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드는 데 충분하다.재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지구 대기 상층부에서 부는 강한 바람, 번개, 운석, 인공위성이나 우주쓰레기 등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