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1,95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검룡류의 골판이 천적 방어에 쓰였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뒤이어 이 가설이 잘못됐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어요.첫 번째 이유로는 골판이 당시의 천적 공룡을 막기에는 약하다는 거예요. 스테고사우루스의 천적은 힘이 세고 강한 공격 능력을 가진 육식공룡, 알로사우루스예요. 그런데 골판의 ... ...
-
-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보다 훨씬 낮답니다.한편, 일본은 전자제품 수거율을 높여 도시광산 ...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영어사전에는 ‘flat-earther’란 단어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 또는 ‘이미 잘못이 증명된 이론을 고집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실려 있답니다.“우리가 있는 곳을 알아냈어요! 우리가 있는 곳은 마리아나 해구 근처의 섬이에요!”오로라와 시원이가 팔 속에 들어 있는 통신장치로 오로라의 ... ...
-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09
- 못했고, 계급의 크기가 세분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통계 조사의 표본을 잘못 선정하면 결과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교과서에 적혀있는 수학 개념을 넘어 더 깊이 있게 내용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송현주 한밭고 교사는 수학탐구발표대회를 연 이유를 ...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09
- 사람은 이 세상에 우리 둘밖에 없을지도 몰라. 우리야말로 있을 수가 없는 현상이고, 잘못 태어난 사람들일지도 모르지. 어떤 사람들은 네가 악마로 점찍어서 태어난 존재라 센서가 반응하지 않았던 거라고도 하더라. 하나님이 우리 민족을 위해 너를 죽음으로 이끌어주신 거라면서. 또 어떤 ...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모르는데 그곳에서 살 수 있을까요?”선장은 무표정했다. 뎀베는 불안해졌다. 뭔가 잘못 짚었나?“다시 말씀드리죠, 상관없습니다.”“네?”“어차피 우린 어딘가에 식민지를 지으려고 떠난 게 아니었으니까요.”“그럼 뭐를 위해서 여기까지 오고 그 기나긴 세월을 여행한 거죠?”“설마 우리 쪽에 ...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08
- 친구도, 목욕하는 사람들의 줄도 찾지 못했어. 지도를 준 목욕탕 주인을 찾아가 지도가 잘못된 것이 아닌지 물었는데, 그제야 친구를 찾을 수 없었던 이유를 알 수 있었어.쌍곡 평면의 지도에서는 ➊원점을 지나는 지름의 일부 또는 ➋양 끝이 원주와 90°로 만나는 곡선이 직선이야. 직선 바깥의 한 ...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08
- 피해가지만, 건물이 숲을 이루면 거대한 산처럼 공기의 흐름을 막아버립니다. 또 건물을 잘못 배치하면 돌풍이 부는 곳이 생기기도 합니다. 빌딩의 벽을 타고 가던 공기는 벽이 끝나는 순간 안쪽으로 휘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다른 바람과 합쳐지면 거센 돌풍이 돼요.이런 공기의 ...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것을 깨달았어요.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의미하는데, 명도의 조합이 잘못된 그림은 코헨이 보기에 아름답지 않았지요. 코헨은 명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그림에 사용하는 색의 개수에 따라 어울리는 명도 차이를 정리해 알고리즘으로 만들었어요. 그 결과, 아론은 적절한 색을 칠할 수 ...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