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선"(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없지만, 인공 장기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하지만 성능 좋은 컴퓨터도 전기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아야 작동할 수 있듯, 잘 만들어진 인공 장기 역시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혈관을 만드는 일 또한 인공 장기를 만드는 일만큼이나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전역에 전기를 공급할 새로운 발전소가 세워졌다고 가정해 봐요. 이때 전기선을 연결하는 변전소와 전봇대를 어디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요? 가장 싼 가격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 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게 좋겠죠? 즉,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경로를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최소 비용 신장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자기장의 방향이나 크기가 변하면 주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하지요. 예를 들어 전기선을 돌돌 감은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면, 자기장이 변하며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돼요. 이번 연구에서는 철가루가 담긴 자기유체가 자석인 셈이에요. 여기에 흘려 보낸 공기방울이 자기장을 바꾸는 ... ...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서리가 흩어져 버리고 말거든.나무가 아니라도! 상고대는 나무가 아닌 바위나 창문, 전기선, 심지어 거미줄에서도 자라난단다. 그래서 그 모양이나 생김새가 정말로 다양해. 사실 같은 나무라고 해도 모습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고대가 만드는 형상은 하나하나가 전부 특색이 있지. 이 점이 겨울에 ... ...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22
- 쓸 수 있는 공간인 지하가 점점 더 개발되고 있거든요. 예를 들어 지하에는 상하수도, 전기선, 통신선 같은 우리 생활의 필수품들이 들어 있는 공간인 ‘공동구’가 있어요. 이 공간은 먼지나 화학물질이물과 선을 더럽히지 않도록 계속 환기가 되어야 해요. 그래서 공동구에 는 꼭 환풍구를 설치해야 ... ...
- 기차 연료, 바닥에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05
- 공급 방식을 보여 주는 시연회도 열었어요.전기를 공급하는 원동력은 철로 바닥에 깔린 전기선이에요. 여기서 발생한 자기력이 열차에 전해진 뒤, 다시 전기로 바뀌는 원리지요. KAIST가 지난해 개발한 무선 충전 전기 버스가 공급받는 전기 용량의 세 배가 넘는 양인 60㎑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 ...
- 콘센트에 꽂아 인터넷하는 '아폴코'과학동아 l200807
- 뒤 데이터 신호를 전원의 파형과 결합시키는 ‘커플링’ 과정을 거친다. 수신부에서는 전기선으로 도착한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고주파의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이면 끝! 복잡해 보이지만 사용할 때는 ‘플러그 앤 플레이’, 꼽기만 하면 바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이사할 때도 어댑터만 빼서 ...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과학동아 l200707
- MIT 과학자들이 전기선 없이도 전원에서 2m 떨어져 있는 전구의 불을밝히는 실험에 성공했다. MIT는 이 기술에 '무선전기' (wireless electricity)를 줄인 '와이트리시티'(WiTricity)라는 이름을 붙였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는 염료 ...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05
- 있다. 단위면적당 구리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구리를 캐는 광산이라기보다는 전기선과 전화선으로 얽혀 있는 도심의 지하와 빌딩들이다. 또 실리콘의 밀도가 높은 곳도 컴퓨터가 들어 찬 사무실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점차 광섬유와 광반도체, 광신소재 등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 ...
- '꿈의 열차' T테 G제 V베과학동아 l199309
- 크게 차량 카티너리(catenary) 장치와 ATC(열차자동제어장치)로 나뉜다. 카티너리는 전기선 등 전철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고 ATC는 중앙 통제부(CTC)와 차량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자동으로 차량의 속도를 조절해 배차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우리나라에 공급될 카티너리 장치는 TGV 북유럽선에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