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각"(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과정을 거쳐 바닷 속에서 작은 꽃병 하나를 건져올렸지요.●햅틱 장치 : 사람이 만지는 촉각이나 힘까지 느낄 수 있는 장치. 인터뷰 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_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보연 연구원오션원 설계에 참여한 10여 명의 과학자 중에는 우리나라 김보연 연구원도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09
- 합금이 스스로 냉동하고 소음 흡수까지색상이나 광택처럼 시각을 자극하는 소재 외에 촉각을 만족시키는 합금 연구도 활발하다. 예를 들어, 스스로 냉동 효과를 내는 ‘자기냉동합금’이 개발되고 있다. 냉장고나 에어컨의 부품 가운데 소음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고 전기를 많이 먹는 부품이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08
- 말고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며(시각), 목소리를 느끼고(청각), 손을 잡는 등 스킨십을 통해(촉각)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 상태를 파악해 보는 거예요. 요리도 훌륭한 오감 훈련이 됩니다. 그림 그리기도 좋습니다. 일반적인 그림그리기는 물론 거울에 비친 그림 따라 그리기, 그림 거꾸로 놓고 그리기,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07
-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수준에 머무르는 날이 많지만, 어린 아이를 키우면서 항상 촉각을 곤두세워 공기질을 관찰하는 게 일상이 됐기 때문이다. 내 손으로 직접 필터를 끼우고 내 눈으로 직접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믿을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만들어보리라 다짐했다.메이커 운동일반인이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03
-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이 게에게 해리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사람이 들어서면 자동으로 불이 켜진다. 센서는 이미 일상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촉각, 시각, 청각, 후각과 같은 인간의 오감을 대신하려다보니 종류도 많다. 자기센서, 압력센서, 관성센서, 영상센서, 레이더센서, 형상인식센서, 화학센서, 광학센서, 적외선이미지센서…. 2015년 미국에서 열린 ...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02
- 후각수용체가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맞으면 뇌로 신호를 보내 냄새를 인지한다.촉각혀 전체에 사상유두(A)가 있다. 미뢰가 없어서 음식의 물성을 느낀다. 단단한 듯하지만 입안에서 쉽게 부서지며 부드러워지거나, 딱딱한 것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 맛있다고 느낀다.미각유곽(B), 심상 ...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않고 먹이를 잡는 ‘배회성 거미’랍니다. 지금까지 배회성 거미는 청각이 아닌 시각과 촉각에만 의존해 물체의 위치를 파악한다고 알려져 있었지요.연구팀은 1초에 60장의 사진을 찍는 카메라와 뇌파 분석 기계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소리 신호를 0Hz, 80Hz, 2000Hz로 나눈 후, 깡충거미에게 각각 4번씩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때와 왼팔을 볼 때의 감각통합 결과가 달라져요. 만약 오른팔을 보면서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꼈다면 오른팔의 가려움만 해소됐을 거예요.하지만 실험에서는 왼팔을 보기 때문에 평소와 다른 시각 정보가 뇌에서 통합됐고, 결국 왼팔의 가려움이 일부 해소됐다고 느끼게 된 거예요.▼관련기사를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을 흔히 시각이 착각을 했다고 해서 ‘착시’라고 해요. 하지만 B가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