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OT"(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06
- Science, 한국 행사명 ‘함께하는 과학행진’)’을 열고, ‘과학은 침묵하지 않는다(Science Not Silence)’ 등의 구호와 함께 거리를 행진했다. 세계의 과학기술인이 오로지 과학과 과학자를 주제로 거리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에서는 서울과 부산에서 국내외 과학기술인 수백 명이 참석한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01
- 알 수 있듯이 입력 값이 0이면 1, 1이면 0을 출력한다. 자, 이제 3진법을 적용시켜보자. NOT 게이트에 0이 들어가면 무엇이 나와야 할까.다행히 3진법 소자를 개발하는 이들이 합의한 논리 게이트들이 있다(위 진리표 참고). 이 게이트들을 바탕으로 회로를 설계해야 한다. 4진법, 8진법 등 n진법에 대한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09
- 친척’이라는 가설을 미생물 유전자 간의 유사성을 봐도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You are not alone’이라는 마이클 잭슨의 노래가 장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듯하다!).장내미생물이 최소 1500만 년 전부터 쭉 인간과 동거해왔다는 사실을 밝힌 것도 이번 연구의 큰 소득이다. 불필요한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06
- 보도자료를 통해 “여러 가지 단어의 소리 변화는 마치 DNA의 분화처럼 독립적이지 않다(not independent)”고 설명했다. 소리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진화한다는 뜻이다. 간단하게(?) 모든 영어와 라틴어 단어에서 소리변화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한다면 f에서 p로의 변화가 f에서 v로의 변화보다 많은지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05
- 발현돼 보라색의 발현을 막기(0)때문에 노란색 유전자는 입력 값을 반대로 바꿔주는 NOT게이트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단백질로 만든 유전자회로가장 신기한 건 역시 유전자회로다. 첼로는 사용자가 설계한 전자회로에 대응하는 유전자회로를 알아서 만들어준다. 어떤 원리로 유전자가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09
- 제목은 “아니요, 2017년까지 인간 머리 이식은 불가능할 겁니다(No, Human Head Transplants Will Not Be Possible by 2017)”였다. 백 교수는 “두뇌, 눈, 코, 귀 등 다양한 장기가 모여 있는 신체 구획을 통째로 이식하는 건 아직 불가능하다”며 “특히 말초신경과 달리 중추신경은 현대의학에서 절대 재생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과학동아 l201508
- 04 Not Found. 요청한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공유경제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업체는 많지 않았다. 서울시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가 운영하는 공유경제 정보 사이트인 ‘공유허브’에 등록돼 있는 공유기업 상당수는 홈페이지가 아예 없어지거나 최근 게시물의 날짜가 1~2년 전에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12
- 등이 포함된다.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로 만든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NOT 게이트 등을 조합해 디지털 칩을 만든다. 그리고 여기서 신호를 수의 행렬로 나타낸다. 실수로 나타내는 것보다 복소수로 표현하는 것이 편해 복소수로 처리하는데, 복소수의 실수부가 의미 있는 신호다 ...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수 있어요.난 닮지 않았어요!이 작품들은 캐나다의 사진작가 프랑수아 브뤼넬의 ‘I’m not a look-alike! : 난 닮지 않았어요!’라는 프로젝트로 탄생했지요. 브뤼넬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진을 받았어요. 그리고는 그 중 닮은 사람들을 골라 사진을 찍었답니다. 브뤼넬은 무려 12년 동안 약 100여 쌍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09
- 변화를 거쳐 지금은 ‘plus’ 또는 ‘+’를 사용하면 된다. 부울대수★ AND, OR, NOT과 같은 논리연산자를 사용해 임의의 A와 B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수학 이론을 말한다. 이를 이용하면 컴퓨터의 회로 설계가 가능하다.컴퓨터가 연산을 2진법으로 하는 이유컴퓨터에서는 수를 단 두 가지 상태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