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r"(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07
- 실험 쥐의 정자가 암컷 쥐의 난자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doi:10.1095/biolreprod62.5.1201). 첨체의 단백질이 수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이 단백질들을 이용한 항정자 항체 피임약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6. 자궁내막 (임신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11
- 1000분의 1초 미만이다. 최근에는 핵자기공명(NMR)의 원리를 차용해 프라세오디뮴(Pr)에서 위상전이시간을 100초까지 늘리는 데 성공했지만 여전히 실효성은 낮다.이제는 메아리 빛이다과학자들은 ‘광자 울림(photon echoes)’이라는 방법을 대안으로 준비 중이다. 각기 다른 속도로 뛰는 선수들이 400m 원형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08
- 시달리면 PR유전자가 발현하기 좋은 구조로 바뀌고, 이 부모에서 태어난 자식 식물도 PR단백질 유전자 부분이 풀린 채 태어난다. 아직까지는 어떤 방식으로 면역정보가 후대로 전달되는지 알 수는 없지만, 히스톤 아세틸화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식물세포는 ...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009
- 만들었다 던데요? 지난 4월, 미국 버클리대학교 전자공학연구팀과 컴퓨터학과가 ‘PR2’라는 로봇을 만들었대요. 저도 PR2도빨래 개는 비법은 같아요. 수건을 집어들고 카메라눈 4개로 관찰해서 수건의 모양을 측정해요. 그런 후에 수건을 비틀어 모서리를 찾아 잡지요. 잡은 수건은 한번 ‘탈탈’ 턴 ...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과학동아 l201008
- 통해 브린봇을 조정하고 있었다. 브린봇은 SF영화 스타트렉에 등장했던 개인용로봇(PR)을 현실에 구현한 초기 모델이다. 구글과 NASA 등의 후원으로 설립된 융합학문이 실험장소인 특이점대가 시도하는 미래의 모습이다.##장면2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샌디에이고)이 운영하는 유치원. ...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0909
- 과정을 증명하는 논문을 미국 물리학회에서 출간하는 저널인 ‘피지컬 리뷰A(PRA)’에 실었다.광양자컴퓨터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를 꾸준히 해온 연구단은 올해에는 광양자컴퓨터용 광논리소자 이론을 실험으로 증명해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발표했다. 함 교수는 “논리소자는 ... ...
- [생물]유전법칙의 기본, 멘델부터 모건까지과학동아 l200904
-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P와 R사이에 교차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자손의 표현형은 Pr과 pR이므로 52+49+50+47=198 마리이다. 이것은 전체 개체 수 1000마리 중 19.8%에 해당하므로 두 유전자는 연관돼있으며 19.8%정도의 교차율을 갖는 거리에 떨어져 있다. 같은 방식으로 Q와 R사이의 교차율을 계산하면 역시 50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과학동아 l200503
- 가운데 외에 한쪽 끝부분에서도 인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피토크롬이 불활성 상태인 Pr에서 활성 상태인 Pfr로 형태가 바뀐 후에도 말단에 인산기가 그대로 붙어있으면 활성 피토크롬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특히 애기장대에 있는 A, B, C, D, E 다섯 가지 피토크롬 중 피토크롬A의 경우 활성 상태로 바뀐 ...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과학동아 l200308
- 빼내는 방법이다.동결억제제에는 일반적으로 글리세롤과 DMSO(DeMethyl SulfOxide), PR-OH(PROpHandiol), EG(Ethylene Glycerol) 등이 많이 쓰인다. 동결억제제를 생리식염수에 섞은 뒤 여기에 세포를 담그면 세포질 내의 물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오고, 그 자리에 동결억제제가 들어간다. 삼투압의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과학동아 l200304
- 불활성화된 형태인 Pr(적색광 흡수형)이 된다. 즉 흡수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피토크롬은 Pr이나 Pfr 형태로 바뀐다. 이러한 광전환성 때문에 광주기 인식에 피토크롬이 사용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구체적으로 단일식물의 경우를 살펴보자. 단일식물은 하루 중 밤의 길이가 일정 시간(임계 밤길이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