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장 전류
누설전류
누출량
리이크
단락
d라이브러리
"
누전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돌려보냈다. 물론 비는 완전히 그친 후였다. 센터 주변에 무너진 흙더미도 복구했다.
누전
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센터 시설 전반에 부서지거나 깨진 부분은 없는지 충분히 살펴봤다.지난해의 폭우는 이례적이었고 혹자는 기후위기와 연관이 있을 거라고 추측한다. 폭우가 자연 생태계의 위태로움과 ...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우리는 과연 전기 없이 살 수 있을까?아마 어려울 것이다. 어두운 곳을 밝히는 조명부터 스마트폰, 주방가전, 그리고 이제는 도로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전 ... 참으로 안타깝다. 누구나 그 위험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소 전선 상태와
누전
여부를 미리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도시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얼마나 늙었을까? 작년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천장에서 빗물이 새고, 이로 인한
누전
으로 5층 일부가 정전이 되는 사태가 벌어졌어요. 세워진 지 30년 이상 지난 낡은 학교 옥상에 방수를 위해 설치된 우레탄 고무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군데군데 벗겨져 일어난 사태였지요. 이처럼 낡은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여과기를 통해 엔진으로 들어가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그밖에 젖은 화산재가 송전선에
누전
을 일으켜 전력 공급이 중단되거나, 화산재가 인체로 들어가 규폐증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위험도 있다.그런데 백두산 폭발 시 이런 강하 화산재가 남한까지 내려올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50cm~1m 높이까지 고개를 숙이고 움직이세요.대피 요령 4 무조건 물을 뿌리지 않는다.전기
누전
, 합선 등으로 일어난 화재에는 물을 뿌리면 감전의 위험이 있어요. 또 뜨거운 기름에 붙은 불에 물을 뿌리면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기름을 끌고 올라가 불이 번지지요. 전기 화재는 소화기로, 기름에 붙은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물고임 현상이다. 양계장의 잦은 소독과 물청소로 전구 안에 물이 고인 것이다.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더 큰 문제는 닭들의 반응이었다. 가장 먼저 닭들이 LED 전구 밑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닭이 밝은 곳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백열전구는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터널을 지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나다.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다. 지중화 상태에서는
누전
과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절연체로 송전선을 감싸야 하는데, 현재 345kV 송전선까지만 기술이 개발된 상황이다. 765kV 대신 345kV 송전선으로 바꿔 땅에 묻으면 3.4배 더 많은 전선이 필요하다. 이런 점을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흐르지 않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특성상 항상 대기전력이 흐른다. 흐르던 대기전력이
누전
이나 전기 단락을 일으켜 불이 날 가능성은 상존한다.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수렴화재’도 눈여겨봐야 한다. 어렸을 적 볼록렌즈에 햇빛 초점을 맞춰 종이에 불이 나게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반대로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2003년 미국 동부 정전사태 역시 마찬가지다. 초고압 송전선로가 나무에 접촉하면서
누전
이 일어났고, 결국 그 지역 전기가 부족해 졌다. 초기에는 일부 설비만이 고장나며 작은 지역에 정전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 지역의 전력망을 재빨리 차단하지 못하면서 정전이 자꾸 퍼져 결국 뉴욕 등 동부 지역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않아 침입자가 피해 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가 아닌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전
등의 염려가 없어 문화재에도 안심하고 설치할 수 있다.화재경보기가 불꽃을 탐지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나 물안개 분사시스템이 작동하게 된다. 물안개 분사시스템은 단순히 물을 뿌리는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