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벽난로"(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한옥을 뚝딱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잠깐! 우리의 전통 난방 구조인 ‘온돌’은 특별한 점이 무엇인가요?서양에서는 벽난로를 설치하여 방 안의 공기를 데워요. 그래서 바닥이 비교적 차가워 거주인이 침대에서 자고 실내에서도 신발을 신지요. 반면에 한옥에서 주로 쓰는 난방 장치인 ‘온돌’은 바닥을 데워 방을 따뜻하게 ... ...
- 미로 같은 굴뚝을 통과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굴뚝 안으로 들어가면 복잡하게 얽힌 미로가 시작돼요. 이 미로의 끝에는 선물을 둘 벽난로가 있어요. 산타는 그 앞에 재빨리 선물을 놓고 다시 썰매로 돌아와야 해요. 지금부터 순록이 알려주는 미로 탈출법을 따라 함께 차근차근 나가는 곳을 찾아봐요! 색연필로 칠하기만 했는데 미로를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앞에 예쁜 트리를 세워두고 온 가족이 꾸미는 모습을 TV에서 본 적이 있는데요, 저희 집엔 벽난로도 없고 트리도 없으니 마인크래프트로 트리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거대 트리 도오~전! ※ 편집자 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든 건물 꼭대기에는 주홍색 굴뚝들이 줄줄이 무리지어 솟아 있었다. 과거 집집마다 벽난로를 때던 시절, 나무와 석탄이 타면서 발생한 연기를 내보내던 흔적이다(왼쪽 사진). 산업혁명의 상징이자 옛 추억을 안고 있는 장식물이지만, 지금은 온실가스를 떠올리게 만드는 쇠락한 상징이다. 205 ... ...
- INTRO. 핵쓰레기 더이상 버릴 곳이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모두 뜨거운 벽난로 주변에 모여 몸을 녹인다. 다 탄 숯덩이를 꺼내 바구니에 넣고, 새 땔감을 넣는다. 다시 시간이 지나 새로운 숯덩이를 빼내고, 새 땔감을 넣는다. 바구니에는 아직도 열기가 남은 숯덩이가 가득이다. 뜨거운 숯덩이는 아무데나 버릴 수 없다. 불이 나지 않도록 깊은 구덩이를 ... ...
- 아름다운 LED 조명으로 반짝 반짝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꿈 속에서나 볼 것만 같은 아름다운 방들이 있었거든요. 따뜻하게 활활 타오르는 벽난로, 그 옆에는 산타클로스가 다녀갔는지 선물이 가득한 양말이 걸려 있었죠. 호두까기인형들이 지키고 서 있는 바이올린과 첼로의 모습도 보이네요. 이 중에서 가장 반가운 것은 ‘크리스마스’하면 가장 먼저 ... ...
- 맹목을 버리고 재미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발전을 알고 싶은데 그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엄두가 나지 않는다면 이 책을 권한다. 벽난로, 벽, 계단부터 자연순응형 디자인 등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건축 관련 아이디어를 시대별로 정리했다. 각 주제당 1~2페이지로 간결하게 서술해 읽기 수월하다 ... ...
-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이야기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냄새지? 뭔가 타는 냄새 같은데.’ 이상한 냄새를 맡고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우당탕! 벽난로에서 정체 모를 풍채 좋은 할아버지가 나타났다. “하…할아버지는 누구세요?” “난 얼마 전 다른 세상으로 떠난 만델브로일세.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모습을 훔쳐보다 그만…. 나도 자네처럼 평생 수학 ...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그러나 케굴레가 버스를 타고 가다 갑자기 고리모양에 대한 영감이 떠올랐다고도 하고, 벽난로 옆에서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육각형 고리 구조를 보게 됐다고도 한다. 어쨌든 벤젠의 구조가 밝혀지게 된 계기는 ‘자연은 대칭적인 구조를 좋아한다’는 케쿨레의 무의식적인 가정이 바탕이 됐던 ... ...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과학동아 l1998년 03호
- 범인을 잡는데 곤충이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꽤 오래됐다. 1849년 프랑스에서 한 미장공이 벽난로를 수리하다가 어린아이의 시체를 발견한 일이 있었다. 당시 시체에서는 몇가지 곤충이 발견됐는데, 쉬파리는 1848년에 애벌레를 시체에 낳았고, 진드기는 1849년에 알을 낳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 ...
12 다음